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어제 미국의 SVB사태가 재우려되면서 금융시장이 요동쳤는데요. 향후 이러한 금융리스크가 얼마나 커질 위험이 있는건가요?

미국의 SVB사태가 재우려되면서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렸는데요.

이로인해 채권시장이나 금리가 큰 움직임을 보일것 같은데 향후 장단기 금리차와 미국의 단기물 장기물의 국채가 어떠한 흐름을 보일지 궁금하며 향후 이러한 리스크가 하반기에 크게 부각될 위험은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 은행들의 경우 가장 큰 문제점은 '수익성의 부재'라는 것입니다. 미국의 경우 지난 코로나 시기 정부의 보조금 정책으로 인해서 대출은 감소하고 예금은 증가하게 되었는데, 특히 대출의 경우에는 고정비율이 90%이상이다 보니 대출에 의한 수익성이 오히려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이 증가하는데 이 예금을 운용할 곳을 찾지 못하였고 이 예금에 대한 투자 비중을 안전하다고 생각하였던 채권에 대해서 투자를 하였는데 작년부터 시작된 빠른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오히려 채권은 평가손실이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이로 인해서 은행들의 수익성은 더욱 부실화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서 실업률이 증가하고 기업들 또한 수입보다 지출이 증가하게 되면서 은행에 예치한 자금을 출금하여 사용하게 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데, 미국 은행들은 이러한 자금 인출에 대해서 대비를 할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보니 향후 SVB와 같은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 또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고금리가 유지되면서 svb와 같은 부실 은행들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 정부의 보증으로 최소한의 뱅크런 사태는 막을 수 있지만 은행으로서의 기능을 더이상

        못할 가능성이 높은 은행이 많습니다.

      • 그나마 현재 문제가 되는 은행은 중소은행으로 시장에 큰 충격은 안주고 있다는 점이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