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루프는 시속 1200km로 달린다는데 이 속도로 달리는 기차를 멈출 기술을 이론적으로라도 구상되어 있나요?
미래머빌리티 전시회를 다녀왔는데요. 거기서 하이퍼루프 체험을 하였습니다. 시속 1200km로 부산에서 서울까지 20분에 주파하던데요. 궁금한게 기차 자체가 무겁고 사람까지 탑승하여 그 무게가 어마어마 할 껀데 시속 1200km로 달리는 이 기차를 제동할 수 있는 기술이 이론적으로나마 구상이 되어있는 건가요?
저는 1200km 속도로 달리는 것보더 멈추는데 더 힘들 꺼 같아서 귱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이퍼루프는 혁신적인 고속 이동 수단으로 높은 속도로 운행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이론적인 개념 수준에서만 구상되어 있으며, 상용화된 시스템은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이퍼루프는 자기부상기술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이동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시스템은 고속으로 움직이는 열차 또는 캡슐을 튜브 안에서 진공으로 유지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자기 부상력과 진공 환경을 활용하여 마찰을 최소화하고 높은 속도로 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이퍼루프 시스템을 실제로 구축하고 상용화하는 데에는 여러 기술적인, 경제적인, 안전성 등의 과제가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몇몇 기술 시연이 진행되고 있지만, 실용적이고 상용화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리게 하는 것이나 멈추게 하는 것이나 비슷합니다. 오히려 멈추게 하는 것이 더 쉽습니다. 멈추게 하는 것은 달리게 하는 힘의 정반대 방향으로 똑같이 주면 되므로 오히려 달리게 하는 것보다 더 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이퍼루프는 미래의 대중 교통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입니다. 하지만 아직은 실험 단계이기 때문에 정확한 기술적인 구상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하이퍼루프는 매우 빠른 속도로 달리기 때문에 기존의 기차나 자동차와는 다른 방식으로 제동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자기장을 이용하여 기차를 멈추는 방식이나 고속도로에서 사용되는 에어브레이크와 유사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아직 실험 단계이기 때문에 정확한 구상이나 적용 가능성은 더 연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지만, 실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자기부상의 원리를 이용하는 하이퍼루프의 경우 자기에너지의 방향성을 활용하여 가속또는 감속을 할 수 있습니다.
리니어모터라고 불리는 장치로 가속,감속이 이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MIT에서 설계했던 하이퍼 루프의 경우 튜브 안에 공기 베어링을 만들어 캡슐을 공중에 띄우게 되는 자기부상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방식을 사용하면 튜브 외부에 만들어진 리니어 모터에 의해 감속이 가능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