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병원바다 같은 치료항목 기준 병원비가 다른지 궁금합니다.
얼마전에 독감에 걸려 수액을 맞았는데 같은성분으로 했는데 저는 15만원 나왔구요. 친구는 7만8천원 나왔다고 하더라구요. 진료비 세부내역 보니깐 같은 치료를 받았는데 가격이 다른거더라구요. 이거 사기 아닌가요 ? ㅜ
안녕하세요. 멋진 손자 이쁜손녀 할머니임~입니다. 같은 수액이더라도 병원 마다 같을수는 없어요~ 마트도 물건 값이 다르잖아요~
안녕하세요. 재빠른반딧불251입니다.
총진료비가 얼마인가 정하는 방법에는
포괄수가제라는 것도 있고
행위별수가제라는 것도 있는데
우리나라는 행위별수가제를 적용하고
있어요
-포괄수가제
예) 발목을 삐었으면 이를 치료하는 데
치료비가 얼마 든다고 미리 정해져 있는 것!
행위별수가제: (위) 역시 발목을 삐었지만
병원에 가서 어떤 치료를 하느냐에 따라
진료비가 달라지는 것
우리나라가 행위별수가제를 적용하고 있기에
진료비가 달라질 수 있는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행복한강성가이버입니다.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진료비는 어떤 치료를 받았느냐에 따라 시간과 요일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병원마다 진료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여기에다 65세 이상인 분들에게는 좀 더 저렴하게 나올 수 있도록 다른 방식으로 진료비를 계산하기 때문에 또 차이가 납니다.
출처 : 한국농정신문
http://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7747#:~:text=%EC%9D%B4%EB%A0%87%EB%93%AF%20%EC%A7%84%EB%A3%8C%EB%B9%84%EB%8A%94%20%EC%96%B4%EB%96%A4%20%EC%B9%98%EB%A3%8C,%EB%95%8C%EB%AC%B8%EC%97%90%20%EB%98%90%20%EC%B0%A8%EC%9D%B4%EA%B0%80%20%EB%82%A9%EB%8B%88%EB%8B%A4.안녕하세요. 도로밍입니다.
독감 수액은 비급여이기 때문에 병원마다 같은 비용이 아니라 병원에서 자율적으로 정합니다. 비급여(비보험)에 해당하므로, 말씀하신 경우처럼 병원마다 크게 2배는 차이가 나곤 합니다. 돈이 아깝기는 하지만... 사기이거나, 법적으로 문제가 있는 상황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우랑바입니다.
병원의 규모, 시간, 급여와 비급여의 구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병원은 1차, 2차, 3차 병원으로 나뉘는데, 3차 병원일수록 본인부담금 비율과 진료비 가산 비율이 높아져서 병원비가 비싸집니다. 또, 공휴일이나 야간에 진료를 받으면 기본 진찰료에 30%의 가산금이 붙고, 응급 수술과 같은 응급진료를 받으면 50%의 가산금이 붙습니다.
안녕하세요. 호두마루입니다.
사긴데 법적으로 뭐 할수 있는 사기가 아니에요
그냥 그 병원이 비싼 병원입니다
수액자체를 되게 비싸게 하는게 아니라 병원에 따른 진료비 가 다른부분은 법적으로
병원맘이라서 달리 방법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