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아지나요

나무는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다르고 잎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배출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잖아요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이면 대부분 나무들의 나뭇잎은 떨어지는데

이렇게 되면 공기중 이산화탄소 함량은 높아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면서 낙엽으로 잎이 떨어지는 나무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양이 줄어들어 여름 대비 산소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이 되면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줄어드는것이 맞다고 합니다. 그리고 겨울에 난방용품 사용이 늘어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늘어나 이산화탄소 함량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는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다르며, 잎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배출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우리나라처럼 겨울철에 대부분의 나무 잎이 떨어지는 지역에서는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감소하고 공기 중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무는 다양한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다르며 잎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나무의 종류에 따라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겨울에는 대부분 나무들의 잎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나무들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는 우리나라 전체의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도 다른 식물들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아지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나무들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줄어들지만 다른 식물들의 흡수로 인해 전체적으로 이산화탄소 함량이 크게 변하지는 않습니다.

      이와 같이 나무들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다양하고 다른 식물들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겨울에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에도 이산화탄소를 적절하게 관리하고 다양한 식물들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겨울철이 되면 나무들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줄어들고, 난방연료의 사용이 증가되어 공기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올라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맞습니다 나무는 이산화탄소

      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광합성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는 주로 잎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나무들이 잎을 잃는 가을과 겨울

      동안에는 광합성 활동이 감소하거나

      거의 멈추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같은 지역에서의 나무들의

      CO2 흡수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합니다.

      봄과 여름에는 나무들이 왕성하게

      광합성을 하여 대기 중의 CO2를

      많이 흡수하지만

      겨울에는 이러한

      활동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순 흡수량이

      감소합니다.

      이것이 곧바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함량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계절적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는 지구 전체의

      대기와 생물권의

      복잡한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

      나뭇잎이 없는 기간 동안 해당

      지역의 나무들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지만 대기 중 CO2 농도에는 다른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끼칩니다.

      바다는 대규모의 탄소

      저장고로 작용하여 CO2를

      흡수하고 방출합니다.

      해양의 흡수 능력은 온도

      해류 풍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겨울에는 북반구에서 나무들이

      잎을 떨구지만

      남반구는 여름이므로

      상대적으로 광합성을 많이

      하여 CO2를 흡수합니다.

      열대 우림과 같은 지역은 연중

      광합성을 합니다.

      겨울철에는 난방과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는데

      이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더

      많이 필요로 하여 대기 중 CO2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가을과 겨울 동안에는 나뭇잎과

      다른 유기물의 분해 과정이

      CO2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연간 사이클을 갖고 수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주로

      인간에 의한 화석 연료 사용의 결과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난방과 화력발전: 겨울철에는 난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화력발전의 사용량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대량으로 방출되어 대기 중 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2. 기상 조건: 겨울철에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확산이 더 어렵습니다. 이는 온도가 낮아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확산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기 중 습도가 낮아져 이산화탄소가 더 오래 머무르기 때문입니다.

      3. 차량 이용 증가: 겨울철에는 차량 이용이 늘어납니다. 이는 날씨가 추워져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어렵기 때문이거나, 연말 연시 휴가철에 이동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차량 이용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나뭇잎이 떨어지는 것은 겨울 동안 나무가 광합성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광합성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과정인데, 겨울에는 태양광이 부족하여 광합성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나무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은 낮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시베리아에서 내려오는 풍부한 산소로 인해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지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겨울철 이산화 탄소 농도의 경우 약 5.9%로 높아지게 됩니다.

      특히 서울지역은 여름보다 겨울이 이산화탄소 농도가 27%정도 더 증가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하지만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은 실제로 줄어들기도 하지만 겨울이다보니 기업과 가정에서 보온을 위해 화석연료를 타계절보다 많이 사용하므로 대기중 이산화탄소 함량이 더 높아집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