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천재들이 악필이라는 말은 왜 나왔을까요?

천재들이 모두다 악필일 리는 없잖아요. 왜 천재는 악필이다라는 말이 나왔을까요? 대표적으로 천재라고 불리는 사람 누구가 악필이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의 원고를 교정·교열한 사람은 아내 소피아였다. 지독한 악필로 그의 글씨를 아무도 판독하지 못해서였기 때문입니다. 베토벤의 악필은 명곡의 이름을 바꾸기도 했다. 소나타 ‘엘리제를 위하여(Fur Elise)’는 본래 ‘테레제를 위하여(Fur Therese)’였다. 출판사 담당자가 ‘테레제’를 ‘엘리제’로 잘못 봤다는 것입니다.

    이런 사례들을 일반화시키면서

    천재는 악필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았을까 생각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재들이 악필이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예술적 능력이나 지적 역량이 뛰어난 사람들이 글쓰기나 필기가 서투른 경우를 비꼬아 말하는 표현인데요.

    이런 이유는 아마도 천재인 사람들의 뇌가 손보다 빠르게 흘러가기 때문에 바쁘게 생각을 적어내려가다보니 악필이 되는 경우가 많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더불어이 표현은 일종의 반어적 표현으로 사용되며, 정말로 천재적인 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도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비꼬아 표현하는 용도로 사용되곤 하는것 같습니다.

    머리속에서 이미 완성된것을 표현하기 위해 불친절하거나 복잡한 글씨로 표현되기에 일반인들이 보기에 더 악필이라는 이미지가 박혔을거 같네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마도 천재 악필 이라는 말이 나온이유는 매우 유명하고 뛰어난 업적을 쌓았던 사람들의 필체가 대체적으로 형편없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 됩니다. 실제로 아인슈타인, 괴테, 베토벤도 악필이었다고 전해 집니다. 그렇다고 글씨를 무조건 못 쓴다고 다 천재는 아니겠지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재라는 구분은 애매하지만 '창의력이 높은 사람은 악필이 될 개연성은 있다'라고 합니다.

    관련하여 자료를 찾아보니, 이는 '우뇌가 더 발달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창의력이 높은 반면, 산만하고 규칙이나 원칙에 얽매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이런 사람들은 맞춤법이나 기호를 제대로 쓰지 않거나 글씨를 가지런히 쓰지 못한다'.(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김영훈 원장 / 중앙일보)라고 합니다.

    러시아의 문호 톨스토이, 작곡가 베토벤은 악필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천재가 악필이 될 개연성은 있다고말합니다. 우뇌가 더 발달한 사람은 일반적으로 창의력이 높은 반면, 산만하고 규칙이나 원칙에 얽매이지 않는 경향이 있어서 맞춤법이나 기호를 제대로 쓰지 않거나 글씨를 가지런히 쓰지 못할수 있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