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용어 중에 화학적 산소 요구량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충북 하천이 91.5% 수질 1등급이라는 뉴스 중에
"충북 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178개 하천 213개 지점의 수질을 조사한 결과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전체 평균농도는 1.1 mg/L로 하천 생활환경기준 Ⅰ등급을 유지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내용에
화학적 산소 요구량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염된 물의 수질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활용되는 개념입니다.
유기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할때 요구되는 산소량을 측정하여 수질을 나타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물속에 존재하는 유기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산소량을 말합니다. 유기물질은 물속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가 소비됩니다. 따라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물속의 유기물질 오염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Chemical Oxygen Demand)은
수중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산소의 양으로,
특히 해양이나 호수에 흘러 들어온 유해물질을 함유한 공장 폐수의 오염도를 알고자 할 때 COD를 이용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BOD와 더불어 수질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사용되며, 유기오염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할 때 요구되는 산소의 양(mg · L-1)이다. 주로 유기물질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이다. 우리나라 수질환경기준 중 COD는 주로 호소수에 적용되는데, Ⅰ급수는 1mg · L-1 이하, Ⅱ급수 3mg · L-1 이하, Ⅲ급수 6mg · L-1 이하, Ⅳ급수 8mg · L-1 이하, Ⅴ급수 10mg · L-1 이하로 정해 놓고 있다.
COD 측정방법은 황산이 있는 상태에서 산화제인 과망간산칼륨(KMnO4) 또는 중크롬산칼륨(K2Cr2O7)으로 오염물을 산화시키고, 이 반응이 끝난 후에 반응하지 않은 중크롬산 또는 과망간산칼륨을 표준적정액으로 역적정하여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