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연준 테이퍼링의 개념과 영향 - 양적완화와 양적긴축 이해하기
안녕하셔요. 지난 번 미연준의 FOMC 회의와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예상을 담은 점도표 보는 법에 대해서 올렸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주십시요.
https://www.a-ha.io/experts/columns/4a495847480a683bbb32ffbd3a76dd64?categoryId=83
다음으로 미국의 금융&재정정책 중 테이퍼링의 개념과 영향 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을 올리고자 합니다.
우선 테이퍼링은 영어로 tapering을 의미하고 사전적 의미는 '수도꼭지를 잠근다'라는 뜻입니다. 여기서 동사의 진행형인 '~ing'를 붙여 테이퍼링이라고 한 것은 점진적으로 수도꼭지를 잠근다는 의미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각종 정책을 점진적으로 완화하거나 중단한다는 의미입니다.
해당 용어는 지난 2013년 5월 당시 미연준의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 미연준 의장이 처음 언급하며 이후 하나의 금융 정책 용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미국의 테이퍼링으로 글로벌 증시가 급락했고 중국 등 공급 과잉에 빠진 중국 경제가 깊은 침체에 빠지게 되었고 물류 산업 등이 글로벌 물동량 감소로 침체 되어 산업 구조 재편이 있기도 했습니다.
세계 경제의 파수꾼이나 압도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미국 금융당국에서 실시하는 양적 완화 정책의 점진적인 완화인 테이퍼링은 엄청난 영향력을 끼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의 경우 양적완화와 테이퍼링 및 긴축 사이클을 나타낸 것입니다. 현재 미연준과 글로벌 경제는 우측의 'E' 지점을 넘어 'A' 지점 초입의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 시작점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 정책으로 금리 인하, 시중 채권 매입 등으로 점진적으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경기 부양에 나서게 됩니다. 이후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기반으로 주식, 부동산, 가상자산 등 자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자산 가격 상승이 과해 지며 시장 과열 조짐이 있고 물가상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조짐 깊어 질 경우 금융 당국은 테이퍼링을 실시하게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테이퍼링이 긴축정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유동성 공급을 줄이는 국공채 매입의 양을 줄이는 것이라 긴축 정책 돌입까지는 일반적으로 5~6년이 소요됩니다. 그럼 왜 미연준에서는 테이퍼링이라는 용어까지 만들어가며 양적완화와 양적긴축 중간 단계를 거치는 것일까요?
결론은 언론이나 매체에서 자주 언급하는 '경제의 연착륙'을 위함입니다.
급격한 양적완화 또는 긴축은 경제 경착륙 가능성이 있어서 자산 시장 버블 또는 붕괴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궁극적으로 원활한 경기의 확장과 수축의 중간 조정 단계로서 테이퍼링이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음 주제로는 확대 & 긴축 정책에 따른 금리, 주가 및 원부자재 시장의 추이 등을 과거 사례를 빌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멤버십 전용NEW경제배당 수익률 9.6% 우선주 커버리지 비율이 두툼한 모기지 리츠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오늘 소개할 종목은 모기지 리츠인데 2020년 2월에 약 1억 달러를 조달하면서 발행됐고 초기엔 연 6.9% 고정 배당이었지만 2025년 4월 15일부터 변동금리로 전환돼 지금은 3개월 SOFR + 5.461% 스프레드 구조라서 9%가 훌쩍 넘는 배당이 나오고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볼까요?고건・00302
- NEW경제배당 수익률 8% : 파란만장한 역사를 겪어온 산업용 리츠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요즘 미국 리츠 시장에서 배당을 30년 넘게 깎지 않고 꾸준히 주는 회사는 생각보다 드뭅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8% 안팎의 배당을 뿌리는 리츠가 버티고 있으니 그 주인공이 바로 One Liberty Properties(OLP)입니다.1 . One Liberty Properties(OLP) 소개OLP는 미국 상장 리츠(부동산 투자신탁)로 원래 소매용 부동산 위주였던 포트폴리오를 산업용(물류창고, 유통센터 등)으로 확 갈아탄 회사2025년 기준 임대수익의 70% 이상이 물류창고 등 산업용 부동산에서 나오고 나머지 잡다한 상업용 부동산은 줄이고 있음본사는 메릴랜드에 있고 외부 위탁 없이 직접 부동산 관리하는 자기관리형 리츠미국 31개 주에 100개가 넘는 건물을 직접 챙기고 임대계약 대부분이 순임대(net lease) 구조라 임대료만 따박따박 받는 구조임대율이 98%를 넘고, 건물 놀릴 일이 거의 없는 안정적인 임대 시스템을 자랑1990년대 초부터 한 번도 배당을고건・30549
- NEW경제배당 수익률 16.1% 너무 말도 안되는 고배당에는 다 이유가 있다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보통 고배당주의 세계에서 7~10%까지는 나름 이유가 있는 고배당이지만 16% 같은 배당은 거꾸로 어딘가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그냥 고배당에 막 혹해서 아무거나 투자하면 안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좋은 사례가 하나 있어서 여러분께 판단의 기준을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Monroe Capital Corp(MRCC) 소개MRCC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BDC로 연간 배당 수익률 16.1%선순위담보부 대출, 유니트런치, 후순위담보부 대출 등 온갖 대출 포트폴리오를 자기 입맛대로 섞어서 굴림선순위담보부 대출은 망하면 제일 먼저 돈 받아가는 구조라 그나마 안전한데 MRCC는 후순위, 무담보, 지분투자까지 가리지 않고 다 건드림주요 고객은 비상장 중소기업, 경기 안 좋을 때는 포트폴리오 전체가 휘청이기 딱 좋은 구조배당 역사는 2012년부터 길지만 코로나 터지고 나서 배당이 1주당 0.34달러에서 0.25달러로 확 줄었고 5년째 유지 중투자했던 기업이 잘되고건・301,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