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아이의 거짓말,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 아이가 거짓말을 하면 부모는 속상합니다.
믿음이 깨진 것 같고, 어디서 부터 잘못된 걸까 걱정도 앞서죠. ❞
그런데 아이의 거짓말은 대부분 ‘문제 해결을 위한 서툰 시도’ 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아이의 거짓말에는 이유가 있어요
혼날까 봐,
기대에 못 미칠까 봐,
관심을 끌고 싶어서,
상상과 현실이 아직 분리되지 않아서.
특히 만 4~7세 사이의 아이는 상상과 현실의 경계가 흐릿해 ‘이야기’와 ‘거짓말’을 구분하지 못하기도 해요.
이 시기의 거짓말은 엄청난 ‘창의력’의 다른 모습일 수도 있답니다.
🤔 부모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 정직한 선택이 더 편하다는 경험을 주기
"정직하게 말해줘서 고마워. 우리 같이 해결해보자."
✔️ 아이의 마음을 먼저 이해하기
"혼날까 봐 걱정했구나?"
→ 감정을 읽어주는 것만으로도 거짓말의 필요성이 줄어듭니다.
✔️ 무조건 벌주기보단, 정직함의 가치를 경험하게
"사실대로 말했으니 더 고마워. 다음엔 처음부터 그렇게 말해주면 좋겠어."
🔍 아이의 거짓말, ‘버릇’이 되지 않도록 하는 팁
거짓말을 바로잡을 때 창피를 주지 말기
아이의 거짓말을 공격적으로 캐묻지 않기
‘정직함’이라는 가치를 생활 속에서 자주 이야기해주기
부모도 실수했을 땐 솔직히 인정하고 사과하기
→ 아이는 말보다 모델링에서 배웁니다.
💬 마무리 잉크 한 줄
"아이의 거짓말은 ‘상상’일 수도 있고 ‘불안’일 수도 있어요.
비난보다 먼저 해야 할 건, 그 마음을 들어주는 일입니다."
강재연 유치원 교사
포레이엔에이학원
0/ 500
1개의 필담이 있어요
같은 분야의 글 더보기
- NEW육아“회복은 갑자기 좋아지는 게 아니라, 무너지지 않으려는 작은 선택들이 쌓여 만들어져요.”“회복은 갑자기 좋아지는 게 아니라, 무너지지 않으려는 작은 선택들이 쌓여 만들어져요.”완전히 괜찮아지지 않아도 괜찮아요.오늘 하루, 나를 지키는 행동 하나만 선택해보세요.따뜻한 물 한 잔, 10분 산책, 불을 끄고 잠깐 눈 감기—이 작은 선택들이 결국 다시 나를 세웁니다.오늘은 ‘회복을 위한 단 하나의 행동’을 선택해보세요. 그것으로 충분합니다.푸른마음심리상담센터 청소년상담사・1093
- NEW육아“무기력은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마음이 오래 버티느라 지쳐서 그래요. 이 시기엔 ‘의욕이 없다’는 말보다 ‘회복이 필요하다’는 말이 더 정확해요. 지금 필요한 건 다그침이 아니라, 잠시 쉬어갈 용기예요. 오늘은 이렇게 말해보세요 — “조금 멈춰도 괜찮아, 나는 여전히 나야.” 해야 하는 일보다, 오늘은 회복을 선택할 용기를 내보세요.푸른마음심리상담센터・60615
- 육아서투른 감정표현,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요즘 6살 지훈이는 마음이 불편하면 갑자기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기도 해요.“왜 그런 거야?” 물어도 “몰라. 그냥 싫어.”라며 말문을 닫아버리죠.지훈이만 그런 걸까요?아니요. 많은 아이들이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요.➤ 감정 코칭의 시작은 ‘느낌 단어’ 가르치기사실 아이들은 아직 ‘속상해’ , ‘억울해’ , ‘지루해’ , ‘당황스러워’ 같은 느낌 단어를 몰라요.그러니 복잡한 기분이 올라올 땐, 몸으로 표현하거나 울어버리는 거예요.이럴 때 부모가 먼저 아이의 감정을 ‘대신 말로 짚어주는 것’ 이 도움이 됩니다.예를 들어 이런 식이에요.👧🏻 아이가 친구와 놀다 장난감을 뺏겼을 때→ “지금 화가 나지? 아니면 속상한 거야?”👦🏻 아이가 놀이를 더 하고 싶어서 집에 안 가겠다고 할 때→ “아쉬운 마음이 드는구나. 그만 놀자고 하니까 속상했어?”이렇게 감정 단어를 ‘상황에 맞게’ 알려주면,아이는 점점 자신의 마음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게강재연 유치원 교사・60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