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세부 전공은 아래와 같습니다. Molecular engineering Environmental biology Microbiology Metabolic engineering Process engineering
실명 인증
전화번호 인증
자격증 인증
답변 평가
답변 보기
작성한 답변 갯수
20개
답변 평점
5
(8)
받은 응원박스
1개
답변 평가 키워드
받은 답변 평가 22개
친절한 답변
7
자세한 설명
6
명확한 답변
5
돋보이는 전문성
4
최근 답변
닭이 먼저인가요? 계란이 먼저인가요?
안녕하세요.주신 질문은 크게 두가지 관점으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1) 닭과 계란2) (닭과 계란 이전) 알을 낳는 생물과 알1) 계란이 먼저닭과 계란의 경우 계란이 먼저일 가능성이 큽니다. 진화 과정 중 "닭"이라는 생물은 "알"을 통해 발생할 수 밖애 없기 때문입니다.예시: 닭 이전의 조류 > [돌연변이 및 산란] > (닭에 가까운 조류가 들어있는) 알 > 닭에 가까운 조류 > ... > (닭이 들어있는) 알 > 닭위 예시의 과정을 긴 시간 거쳐 현재 우리가 닭이라 부르는 조류가 생겼습니다. 이미 존재하는 생물이 다른 생물로 변화하는 것이 아닌 세대를 거쳐 진화하는 것이며, 조류는 알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닭"의 경우 알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2) 알을 낳는 생물이 먼저다만, 닭이 아닌 "알"을 낳을 수 있는 생물과 "알" 사이의 선후 관계의 경우 알을 낳을 수 있는 생물이 먼저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닭과 계란과는 반대죠.예시: 생물 > [생식] > 생물 > [돌연변이 및 생식] > (알을 낳을 수 있는) 생물 > 알 > (알을 낳을 수 있는) 생물"알"을 낳을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생물이 돌연변이와 생식을 통해 발생한 후 해당 생물이 "알"을 낳았을 때 비로소 알이라는게 존재하게됩니다.질문자께서 두 질문 중 어떤 관점으로 토론하셨는지는 모르겠으나, 말 그대로의 닭과 계란의 경우엔 계란 먼저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대로 알과 알을 낳는 생물의 경우 알을 낳는 생물이 먼저 일 것 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비가 오면 지렁이가 땅 위로 올라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비가 오면 지표면이 물에 젖어 공기를 차단되어 지렁이의 호흡을 방해합니다. 지렁이는 진동 등을 통해 비가 오는 것을 인식해 호흡을 위해 지표 위로 올라오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냉장고에 둔 과일은 금방 시들지 않는데 실온에서는 왜 빨리 시드나요?
안녕하세요.질문: 온도에 따른 과일 보관 기간의 차이와 효소의 관계답변: 많은 효소들은 낮은 온도에서 낮은 활성을 보임과일의 숙성에 관여하는 몇몇 효소들이 존재합니다. 기본적으로 효소는 온도, pH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효소마다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온도는 모두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에선 효소 활성도 낮아지는 편입니다. 특히 일반적인 냉장고 온도인 4도에선 대부분의 효소들이 활성이 매우 낮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보통 해당 효소가 존재하는 생물이 살아가는 환경 조건에 따라 최적의 온도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3일 전
0
0
잉크
작성한 글
0개
받은 잉크 수
0
글 조회수
0회
잉크
최근 작성한 잉크 글이 없어요.
강병찬 박사
광주과학기술원
전문가 랭킹
10위
학문 분야
카카오톡
전화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