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콘센트 교체할 때 사용해야 하는 장갑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절연장갑이 있습니다. 단 물에 젖으면 절연장갑의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땀이 많이 손에 나는 편이시라면장갑도 두꺼운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장갑외에도, 절연테이프도 필요합니다. 절연테이프, 절연장갑, 전압테스터기 정도면 안전한 작업이 되시겠네요!차단기는 꼭 내리고 하시기 바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0
0
빔프로젝트를 샀는데 천정에 콘센트 설치하는 법이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설치할 위치를 보시고, 콘크리트를 정리하기 어려운 면이 있기에, 저는 인테리어 몰딩을 이용하여 벽체 콘센트에서부터선을 JOIN 합쳐서 천정으로 몰딩과 함께 올리시는 걸 추천합니다. 그렇게 하신후 노출 1구 콘센트를 설치하시면아주 가볍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0
0
전기차 말고 내연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시동이 꺼지게 되면 브레이크 페달이 단단해집니다. 그래서 엄청나게 강력하게 밟아야 하며, 더 밟으면 망가질까봐 보통은 누르지 못합니다. 일단 왜 단단해지냐면 엔진이 멈추면 펌프가 작동하지 않아서 브레이크가 단단해지는겁니다. 그래서 브레이크부스터의 효과가 사라집니다. 만약에 비탈길을 내려가다가 안멈추면 담벼락을 들이박는걸 추천합니다.낙사하는 비탈쪽아니고, 담벼락이 아주 큰곳을 얘기하는겁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4.0
1명 평가
0
0
전기용어는 너무 어려운데요 이것들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기과를 졸업하면 처음에 배우는 용어들인데요, 전압은 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압이 높을 수록 전류는 강력해집니다. 전류란 양입니다. 음식을 많이 먹으면 전류가 쎈거고 적게 먹으면 적은 것입니다.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인데요, 저항도 반드시 필요한 부분중에 하나라는거 알고 계시면 좋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0
0
전기 사용할 때 안전하게 쓰는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기를 안전하게 쓰는 방법은, 용량에 적절한 제품을 쓰면 크게 문제되지 않습니다.일반적으로 콘센트의 최대용량은 15A입니다. 고용량 제품을 콘센트에 넣으면 오래된 건물에서는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이고요, 그리고 전기는 지식이 어느정도 있는 분들에 의해서만 기본적인 작업도 시행해야하며, 공사가 들어가게되면 면허가 있는 업체에서 해야한다는 점 기억하세요.
학문 /
전기·전자
24.08.22
1.0
1명 평가
0
0
전기실은 보통 어디에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기실은 보통 아파트의 지하에 있습니다. 그리고 전기실에는 물이 절대 유입되면 안되는 구조로 짓는다는데실제로는 그냥 똑같이들 짓습니다. 심지어 어떤 곳은 누수가 되서 전기실이 터진곳도 많다고 합니다.일단 일반적으로는 전기실은 절대 물이 안들어가야 한다고 봐야하고, 태풍에는 크게 영향이 없으리라 봅니다.태풍에 영향이 가는 구간은, 한국전력에서 설치하는 PAD S/W부분이 주의해야 겠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0
0
전기를 아껴쓰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가정집이신가보네요. 그러면 누진세를 주의하셔야 합니다. 누진세를 넘길 때마다 곱하기*기본단가<- 이것이 변경되기 때문에 매우 조심하셔야 합니다.특히, 많이 안 안먹을 줄아는, 건조기,드라이기,전자렌지,에어컨 등 많은 제품들이 고용량의 제품들입니다.쓰다보면 누진세가 나올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는 것이지요.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0
0
전기로 가는 비행기도 나올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현 시점에 전기비행기는 상당히 별로인거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 준비는 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 실험도 많이 끝났고요태양광 비행기도 나왓지만, 지금 전기차와 전기오토바이도 작은 규모에 비해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는데, 전기비행기는한번 사고가 나면 엄청나게 많은 영향을 주기에, 아마 엄청나게 쉽게 나오진 않을 겁니다. 특히 태양광은 보조 역할이지운행중에 충전하는 건 매우 위험하다고 봅니다. 많은 시간이 흐른 후 안정적으로 나올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0
0
미래에는 AI에게도 감정이 생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영화적으로만 보면 아주 간단하게 가능합니다. 그런데 로봇이 감정을 갖게 된다는거 자체가 좀 힘든 이야기 같습니다.정신병이 심각하게 걸린, 인공지능 수준으로 볼 것이라고 봅니다. 지능은 동물들 특히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기발한 생각입니다. 인공지능은 감정적,윤리적등의 외의 수를 나누는 것은 잘하겠지만, 슬픔을 알고, 진정으로 울 수는 없습니다. 우는척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5.0
1명 평가
0
0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전기를 쓴게 어느 시대 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걸쳐서 전기가 오게 되었습니다. 전기의 첫 도입은 전등으로 들어왔고 경복궁에 고종의 명으로 들어왔다고 합니다. 정확하게 질문자님께서 전등을 맞추셨네요, 그 후에는 전화기가 도입되고 일제감정기 간의 전기사용이시작되었다고 봐도 무방하다고 하네요, 그래서 나라를 도와줬다고 하는 거랍니다.실제로는 모든 전세계가 그때 이전부터 전기를 도입했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4.08.22
0
0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