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도로에 까는 아스팔트는 어떤 재료로 만드나요?
안녕하세요.아스팔트는 주로 원유에서 이를 정제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부산물을 사용합니다.이처럼 정제과정에서 나오는 아스팔트 이외에도 자연상태에서 발견되는 천연 아스팔트도 존재합니다. 색상의 경우는 아스팔트 제작 시 사용되는 바인더나 정제과정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7
0
0
비행기의 동체는 무엇으로 이루어졌나요??
안녕하세요.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대로 가볍고 강한 물질이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고속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열 등이 발생함으로, 이에 합당한 소재로 선정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는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등이 사용되고, 여러 물질들을 복합된 형태로 복합재가 사용되기도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7
0
0
"희토류(稀土類; Rare Earth Elements)"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희토류는 화학원소 주기율표 상에서 란타넘족 원소 15개와 스칸듐, 이트륨을 포함하게 됩니다. 단어의 뜻은, 희귀한 흙이라는 뜻입니다.현재 희토류는 산업 전반에 사용되고 있으며, 방위산업, 의료장비, 전자제품 등에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희토류의 매장량은 중국이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7
0
0
도금을 하는 기본적인 원리 및 가짜판별 방법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도금의 경우 전기도금(electroplating)과 무전해도금(electroless plating)법이 있습니다.전기도금의 경우 도금할 물체와 도금 금속을 전해질 용액에 담궈, 전기를 흘려줌으로써 도금이 되는 원리이고, 무전해 도금의 경우 화학반응을 이용한 도금 방법을 말합니다.도금 두께의 제어는 전해도금의 경우 전류, 시간, 전해질 농도 등의 공정변수를 조절하며 두께 제어를 하며, 무전해 도금의 경우 반응시간, 반응 농도 등을 제어하여 두께를 제어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7
0
0
유리에 빛이 관통될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유리는 주로 SiO2로 이루어 져있으며, 결정이 아닌 amorphous 라는 비정질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밴드갭이 가시광선의 에너지보다 커 빛(가시광선)이 유리를 통과할 때 흡수되지 않고 투과하게 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7
0
0
스테인레스의 주 성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스테인리스는 철을 기반으로 이에 크롬, 니켈 등을 혼합하여 특성을 부여하며, 이러한 성분에 따라 저가형 스테인리스에서 반도체용 고가의 스테인리스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생산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6
0
0
유리를 투명하지 않게 만들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유리를 불투명하게 만드는 방법은 매끈한 표면에 미세한 스크레치들을 만드는 방법과 내부에 결정질 핵을 생성시켜, 빛을 산란 시키는 방법등이 있습니다.또한 질문주신 밖에서는 안이 않보이고 안에서는 밖이 보이는 유리의 경우 반사유리로, 유리 표면에 아주 얇게 금속을 코팅하여, 빛을 반사시킴으로써 보이지 않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6
0
0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금속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인체에 무해한 금속에 대한 답변으로는 티타늄이나 금, 은 등과같은 금속들이 있고, 이는 인체와의 반응성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금속들입니다.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도 특정 grade에서는 인체에 무해하여, 실제로 수술용 도구에 주로 사용되고, 생체재료로 사용되는 금속들이 대부분 무해한 금속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6
0
0
탄소 나노 튜브는 실생활에서 이용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CNT(Carbon Nano Tube)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 탄소 나노 튜브로, 우수항 특성들을 발현합니다.대표적 사용처로는 투명전극이나, 배터리, 여러 카본관련 복합재에 사용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6
0
0
스마트폰 액정 안깨지는 소재는 없나요??
안녕하세요.깨지지 않는 소재는 없을 것으로 사료됩니다.다만, 내구성을 높여 깨지는 빈도를 높이는 형태로 많은 연구가 되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고릴라 글래스로 화학적으로 강화된 유리입니다. 또한 사파이어 단결정을 활용한 재료로, 사파이어의 경우 모스경도가 9로 상당히 경도가 높은 소재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4.05.16
0
0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