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금속채집시 사용되는 탐측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금속 채집에 사용되는 대표 장비가 금속 탐지기 이죠. 이 장치는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해서 코일에서 발생한 교류 자기장이 금속에 닿을 경우 금속 내부에 유도전류가 생기고 그로 인해 반대 자기장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원리입니다. 지질 탐사를 할때는 지하 레이더나 자력계, 전기탐사장비도 함께 활용해서 금이나 철, 티타늄 등의 분포를 비파괴적으로 탐지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1일 전
0
1
CXL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론 CXL은 CPU랑 GPU 그리고 메모리 간의 고속 인터커넥트 기술로 알고 있습니다. 기존의 PCle 기반보다 지연 시간도 낮고, 장치 간 메모리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죠. 그래서 AI 연산 효율을 높인 기술로 알고 있습니다.데이터의 흐름 효율을 높이는 연결 기술 정도로 볼 수 있겠네요.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0
0
전기 콘세트가 헐거워져서 플러그가 잘 안 꽂혀요
안녕하세요. 콘센트 접점은 반복 사용하다 보면 탄성이 약해지기 때문에 헐거워질 수 밖에 없습니다. 당연한 결과이죠. 이런 경우라면 접촉이 불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스파크나 화재 위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교체가 필요한 가능성ㅇ ㅣ높죠. 직접 교체하시기 전에는 반드시 차단기를 내리시고 전압을 확인하고 작업을 하셔야 할 것 같네요.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0
0
전력 변환 장치가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스위칭 제어 기술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전력 변환 장치는 입력 전압을 다른 전압이나 또는 전류의 형태로 바꾸는 과정에서 스위칭 소자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보통 그래서 고속 스위칭 제어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를 약자로 PWM 이라고 하는데, PWM 제어는 트랜지스터의 ON/OFF 시간을 매우 빠르게 조절해서 평균 전력을 정밀하게 제어해서 손실을 줄이는 방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0
0
차단기 구조 및 용어에 관련하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CB 즉 차단기의 경우 과부하 보호요으로 열동형과 단락 보호형 트립 장치를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열동형은 In 이하에서는 바이메탈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초과한 과전류가 일정 시간 지속되면 바이메탈이 열에 의해 휘어지게 되죠. 자기형은 단락 시 큰 전류가 흐르면 그 전류가 트립 코일에 순간적으로 강한 자계를 형성하게 합니다. 이걸 즉시 트립이 되었다고 하죠.kA의 경우 정격 차단 전류를 뜻하는 것 같습니다. 이 차단기가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최대 단락전류가 얼마인가를 의미하는 것이죠.
학문 /
전기·전자
1일 전
0
1
산화환원 반응이 금속 부식 방지 및 표면 처리 산업에 적용되고 있는 방식은?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산화환원 반응은 금속 부식의 원인이자 동시에 부식을 제어하는데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부식을 방지할 때 쓰이는 게 음극 보호 기술입니다. 보통 철 구조물에서 아연이나 마그네슘 같은 희생양극을 연결해서 이 금속이 먼저 산화되도록 해서 철이 환원 상태로 유지되며 부식을 억제하는 방식이죠. 표면 처리 분야를 보면 전기도금 기술이라고 들어보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산화환원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죠. 전해질 속에서 금속 이온이 환원되어 표면에 균일하게 도금되거나 알루미늄 표면을 산화시켜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내식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그런 기술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1일 전
0
0
콘센트구멍에 단순히 좀 쎄게 꽃은걸로 전기관련 사고가 날수있나요
안녕하세요. 콘센트 구멍에 너무 세게 꽂으면 내부에 플러그 쪽 금속 단자가 변형이 될 수도 있고 절연이 필요한 부품들이 손상될 수도 있습니다. 접촉이 계속 불량하면 불이 날 수도 있어요. 전기라는게 함부로 만지면 위험할 수도 있으니, 될 수 있으면 전문 전기기술자에게 교체 점검을 받아보시는 것이 어떨지 추천드립니다... 안전을 위해서
학문 /
전기·전자
3일 전
0
0
핵심 희귀 원재료 종목으로 판단하는 것들은 어떤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재화 박사입니다.산업 전반적으로 핵심 희귀 원재료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리튬이나 니켈, 코발트 망간 같은 것들이 있는데, 이건 다 배터리에 들어가는 소재들이죠. 그리고 희토류, 텅스텐, 티타늄, 갈륨, 게르마늄 같은 원소들도 있습니다. 대한민국에는 이런 것들의 매장량이 제한적입니다. 소규모로 발견되고 있긴하지만 채굴은 어려운 수준이죠. 결국에는 해외 광산에 투자하던가 아니면 기존 것들 재활용해서 쓰던가 해야 되는 상황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3일 전
0
0
ai 도입으로 인하여 전력 소모가 얼마나 많아지나요?
안녕하세요.AI 도입으로 전력 소모가 많아 지는 것은 AI 자체가 데이터 연산량과 저장이나 전송량 같은 것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데, 이 때 전력 소모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키게 됩니다.수천 대의 GPU가 수주 이상 작동하고, 모델 학습하는데도 엄청난 전력이 소모되기도 하죠. 서비스 운영 중에도 실시간 추론 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는 계속 늘어 날 것 같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3일 전
0
0
전기를 통해서 불으루키는 원리가 뭔가요? 가끔 보면 가게에서 스파크를 통해서 불을 붙이는 데요. 이게 언떤 원리로 불이 붙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스파크를 통해 불을 붙이는 것을 우리는 전기 스파크 현상이라고 합니다. 방전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죠. 공기 중에서 높은 전압이 가해질 경우에는 전자들이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이온화가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매우 높은 온도의 열이 발생하게 되죠. 이 열이 주변에 가연성 물질들이나 가스에 순간적으로 점화시켜 불꽃이 생기게 하는 것이죠. 가스라이터나 점화 플러그 같은 것 보면 이 원리로 한 겁니다.
학문 /
전기·전자
3일 전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