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거중기는 어떻게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정답은 장력의 원리를 이용하였고, 아마 도르래를 추가하여 적은 힘으로 쉽게 물체를 들어올렸을 것 입니다.거중기에서 고정도르래를 이용하면 물체에 작용하는 장력이 한 쪽에서만 작용하기 때문에 물체와 동일한 무게의 힘을 가해야 물체를 들 수 있지만, 이동도르래를 이용하면 물체에 작용하는 장력이 양쪽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내가 가한 힘의 2배를 물체가 받게 됩니다.바로 이 원리 덕분에 힘을 절빈만 주고도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6
0
0
AI는 결국에는 인류의 멸망을 가져올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들이 다양한 공상영화 등을 많이 접하므로써 AI 에 대한 극단적이고 부정적인 의견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하지만 AI 도 결국 사람이 만드는 것입니다.현재까지의 기술은 아직 AI 는 인간의 단순하고 불편한 것들을 효과적으로 대체해 줄 수 있는 수단이고, 아직은 발전되고 있는 단계일 뿐 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6
0
0
사람이 눈으로 사물의 색상을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설명드리면, 빛이 물체에 부딪히고 물체에 반사된 이 빛이 다시 이 것을 보는 사람의 눈에 들어갑니다.이 때 들어온 빛은 인간의 눈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각막에 모이게 됩니다. 그리고 그 안의 전방수 - 수정체 - 후방수 - 초자체를 거치어서 망막에 있는 시세포에 도달하게 됩니다.시세포는 색깔을 감지하는 추체세포와 빛을 감지하는 간체세포를 통해 받은 정보를 시신경 유두로 전달하여 최종 목적지인 시신경로에 도착합니다. 이 시신경로는 눈의 가장 뒤쪽에서부터 나오기 시작하여 마지막 과정인 뇌로 전달되어 우리가 보게 되는 것 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6
0
0
국을 끓일 때 거품을 걷어내는데 성분이 인체에 안 좋아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국을 끓일 때 나오는 거품에는 지방과 단백질이 들어가 있습니다.지방이나 단백질같은 성분은 열을 가하게 되면 기름이 끓어올라 거품이 올라오게 됩니다.음식을 드실 때 걷어내고 드시는게 더 건강에 이롭습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왜 4월인데 이렇게 추워진거죠?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바로 꽃샘추위 때문인데요.꽃샘추위의 원인은 시베리아 고기압의 후퇴, 그리고 시베리아 기단이 갈라져서 나오는 이동성 고기압과 중국 대륙에서 발생하는 온대성 저기압이 나흘 간격으로 통과합니다.고기압이 통과를 하면 날씨가 맑고, 기온이 높아지며 저기압이 통과하게 되면 봄비가 내려서 새싹을 틔우는데에원동력을 줍니다.다만 이때 약화되었던 시베리아 기단은 다시한번 세력을 회복해 권토중래하여 우리나라에 추위를 몰고 오는겁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속도는 번개가 빠른가요 빛이빠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번개 또한 빛의 일종입니다.단어만 다를 뿐이지 같이 빛이기 때문에 둘의 속도는 같으며 그 속도는 300,000 km/s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6
0
0
칫솔살균기는 어떻게 살균처리를 해주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칫솔 살균기에 따라 그 원리는 다양하지만 아래 기계 기준으로 원리를 설명 드리겠습니다.가장 흔한 방식은 75도의 열 바람을 이용하여 세균이 살기 힘든 환경으로 건조시켜 살균 기능을 실행 시킵니다.또다른 방식은 UV램프를 이용하여 살균처리를 합니다. (푸른 빛의 램프를 본 적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4.06
0
0
혀에 얼음을 대면 살짝 붙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이유는 간단합니다. 얼음과 얼음에 닿는 혀의 온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냉동실에서 금방 꺼낸 얼음은 실제 온도가 수십도의 영하의 온도입니다. 이 때 온도가 워낙 낮기 때문에 얼음에 닿는 수분이 있는 물체는 즉시 얼어버리게 됩니다. 혀 뿐만 아니라 만약 젖은 손으로 얼음을 만진다면 마찬가지로 일시적으로 얼어버리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하늘의 별들 중에 유난히 반짝이는 별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별은 부피가 크고 질량도 큽니다. 또한 중심부에 막대한 압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압력 속에서 수소원자들의 핵이 강제로 뭉쳐 헬륨 원자로 바뀌게 되는데 이때 우리가 잘하는 핵융합이 발생합니다. 이 핵융합 과정에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는데 이 에너지가 바로 열 에너지와 빛 에너지입니다.서두에 말씀드린대로 별에 따라 부피와 질량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우선 밝기가 차이가 나게 됩니다. 또한 후자로 해당 별의 위치에 따라서도 굴절되는 정도가 다를 것이기 때문에 작용하게 될 것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6
0
0
자석에서 N극과 S극의 자력은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자석은 일정한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맞물리게 철원자가 정렬을 하면 자성을 띠게 됩니다. 이 때 생성하는 두 극은 어느 한 쪽의 극이 세거나 그러지 않습니다. 하지만 막대자석 같은 경우 어느 한극을 같은 극끼리 문질러 댄 경우 일시적으로 한 쪽 끝의 철원자가 난잡하게 정렬되어 일시적으로 강한 자성을 띠지 않게는 할 수 있지만 이 것은 자연적인 현상이 아닌 인위적인 상태입니다.
학문 /
물리
23.04.06
0
0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