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파나마 운하는 어떻게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파나마운하 작동방식은, 배가 이 운하를 통과할 때 가툰호수와 클레브라수로의 수면표고는 26m, 미라플로레스호수의 수면표고는 16m이며 이 두 호수 사이의 표고차 및 해수와의 표고차 때문에는 갑문방식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의 갑문식 운하는 운용하는데 갑문관리의 불편함과 통과 시간이 긴 문제점이 있어 수에즈운하와 같은 방식으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6
0
0
길가에 세워진 전봇대들은 어떻게 전기를 보내주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구조적인 원리를 살펴보면 전봇대에 설치된 전선 안에는 두 개 이상의 전선이 모여 있는데, 이 전선이 늘어지거나 팽팽해지지않게끔 하기 위해 길이와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전봇대는 이러한 구조적 원리를 이용하여 전선의 견고함과 안정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치됩니다.그리고 전기를 내보내는 과정은 정전기적 원리로 볼 수 있는데, 전선에 흐르는 전기는 전자를 이동시키고 이 전자는 전선을 따라 이동할 때 마찰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전봇대에서 전기가 전달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6
0
0
집에서 버섯이 자라는걸 봤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버섯이 자라난 해당 부분이 습하고 버섯이 자라기 좋은 조건의 토양 (또는 나무 등)이라면 충분히 가능한 조건 입니다.단, 버섯이 자랐던 곳은 버섯을 제거하시고 반드시 건조 및 필요 시 페인트칠을 권유 드립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6
0
0
엽록체의 기능과 구조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엽록체의 구조는 전자현미경으로 관찰 했을 때 지름 약 5~10㎛, 두께 2~3㎛인 원형 또는 타원형의 구조이고 세포막은 외막과 내막의 이중막 구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막 안쪽에는 틸라코이드가 층을 이루면서 쌓여 있는 그라나 라는 공간이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에는 여러 가지 광합성에 필요한 효소들이 들어있는 스트로마라는 기질이 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6
0
0
플라토닉이라고 하는 게 정말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토닉 자체가 내면적인 부분 입니다. 내면적임에 따라 눈으로 직접 사랑이 드러나지 않아서 더더욱 그렇습니다. 이 경우는 내면화된 소리없이 좋아하는 감정들이 더 많이 차지합니다. 실제로 외적인 요소보다는 내면적인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크기도 하고요.
학문 /
화학
23.04.06
0
0
수영장에서 잠수를 하면 귀가 먹먹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잠수를 하게되면 깊어질수록 수압이 강해지며, 이 수압때문에 귀가 먹먹해집니다.보통 이런한 현상을 겪게 될 경우 코를 잡고 공기를 귀쪽으로 밀어 회복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6
0
0
버스 뒷 바퀴 위치가 비교적 앞쪽에 위치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대형 차량들의 바퀴는 안쪽이 깊이 패이는 형식인데요. 이것은 뒤에 더블로 설치를 할 수 있기 위함입니다.뒷쪽의 타이어를 앞쪽으로도 끼울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6
0
0
김을 냉동실에 보관시 눅눅해지지 않는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김을 보관할 때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습기가 없는 어둡고 서늘한 곳에 둘 것냉동실은 습기도 낮고 어둡고 서늘한 곳임에 따라 김을 보관하기 적절한 장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눅눅해지지 않는 것 입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왜 어둠속에 갑자기 들어가면 안보이다 서서히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이 것은 동공의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하면 쉽습니다.동공은 빛에 반응합니다.밝은 곳에서는 동공이 작아지고 어두운 곳에서는 동공이 커져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조절하여 잘 보도록 해줍니다.갑자기 어두워지거나 갑자기 밝아질 때 서서히 잘 보이는 이유는 동공이 서서히 조절하고 있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6
0
0
운동 후 찬물을 빨리 마시면 쓰러질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찬물을 빨리 마신다고 특별히 달라지는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운동하는중에는 땀배출로인한 수분손실이 많기때문에 수분보충을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너무 벌컥벌컥 마시는 습관 말고 운동중이나 운동후 나눠서 조금씩 마셔주시는걸 추천합니다.
학문 /
물리
23.04.06
0
0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