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콜라 멘토스 넣으면 폭발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의 표면이 콜라 내부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멘토스를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구멍들이 엄청나게 많이 있다고 합니다.이러한 구멍들은 콜라 안에 있던 이산화탄소를 콜라 안에서 엄청나게 나오도록 촉매 역할을 하게 됩니다..따라서 이산화탄소가 갑자기 엄청나게 많이 뽑혀나오는 이 현상을 폭발한다고 생각하게되는겁니다.
학문 /
화학
23.04.05
0
0
반도체 공부를 하면서 웨이퍼 수율이라는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 수율이 높아야 이익율이 높다고 하는데 반도체 수율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반도체 수율은 생산에 연관이 있습니다. 수율 변수에 따른 것들은 빛의 변화, 식각의 정도, 반도체의 구성라인 등이 있습니다. 즉, 생산이 안정적으로 되게 되면 관련 부분 수율이 증대되고 이것을 제품으로 만들거나 새로운 반도체 소자로써 구성하여 이것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패키징 하는 등의 작업을 합니다. 1. 선공정에 따른 변수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우선 패키징 시의 안정된 라인의 형태와 이것들을 재배치하는 결합의 공정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2. Dice yield variables 들의 변수요인은 반도체 집적회로의 크기와 노광되어진 상태나 청결정도 등에 따라서 소자의 크기가 집적이 되기 때문에 이와관련하여 연관이 있습니다.3. 최종 공정에 미치는 변수는 반도체의 크기와 반도체의 집적정도 공정에서의 활용도 그리고 확실한 라인의 형태등에서 나오는 반도체의 제품신뢰도 등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래서 안정적인 반도체 제품을 구성하기 위해서 최종적인 노력을 해야 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5
0
0
습도가 어느 정도 되어야, 건조함을 느끼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는 18도이며 습도는 50%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이는 방의 크기(면적)에 따라 영향이 있으므로 본인이 생활하는 공간에 기준으로 재확인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화학
23.04.04
0
0
토네이도나 태풍은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나비의 작은 날개 짓이 반대편에서는 태풍으로 불어온다는 말이 있죠? 이 처럼 정말 아주 미세한 영향에도 태풍의 진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예측이 많이 어렵습니다. 태풍의 진로 예측 등은 태풍 생성 초기에는 예측이 굉장히 어려우며 정확도도 낮은 편입니다.이를 전문용어로 카오스적 이론 이라는 표현을 쓰고, 기상현상은 작은 변화 하나에도 완전히 다른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4
0
0
성냥의 머리 부분은 어떤 소재로 이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성냥머리에 있는물질은 황, 유리가루, 염소산칼륨이 들어있습니다. 이 염소산칼륨은 작은 마찰이나 충격을 가해도 터지는 물질입니다.이 것이 성냥에 불을 쉽게 붙게 하는 성분입니다.
학문 /
화학
23.04.04
0
0
가스터빈의 기본원리는 무엇인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가스 터빈은 실제로는 제트 엔진(Jet engine)이라고 하는데, 이 제트 엔진의 원리는 제트 기류를 분출함으로써 뉴턴의 세 번째 운동 법칙인 작용-반작용의 원리에 의해 추력을 얻는 것 입이다.제트 엔진은 넓은 의미로써 터보제트, 터보팬, 로켓 등을 포함하고 좁은 의미로는 질문자께서 질문하신 가스 터빈 엔진, 즉 터보 제트만을 의미합니다. 제트 엔진 대부분이 가스 터빈 엔진으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가스 터빈 엔진으로도 흔히 불립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4.04
0
0
SMP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전력판매가격은 SMP(계통한계가격 - 한전 또는 전력거래소에 판매)와 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가격에 따라 변합니다.이 SMP는 화력, 원자력 등 다양한 자원과 전력수급에 따라 시간대별로 결정되며, 매월 정산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4
0
0
동남아시아쌀 과 우리나라 쌀은 밥을했을시 고슬하다못해 불면 날릴듯한 쌀과 너무나 기름져보여 찰진 우리 쌀과의 차이는 무엇때문입니까?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크게 보아 쌀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자포니카종, 그리고 동남아 쌀로 알려진 인디카종입니다.실제로는 전세계적으로 인디카종을 많이 먹습니다. 이 인디카종은 자포니카종에 비해 찰기가 적고 날리는 쌀이라고 알려져있죠. 질문자께서 궁금 답변은 이 것이 되겠네요. 추가적인 정보를 드리면 인디카종과 자포니카종은 칼로리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GI지수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면 자포니카종의 쌀이 더 높다고는 되어 있습니다. 즉, 같은 칼로리라도 혈당 수치를 빠르게 올린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인슐린 분비가 촉진되면서 지방 축적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인슐린은 혈당을 낮추는 기능과 함께 잉여 칼로리를 지방으로 축적하는 기능도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4
0
0
어렸을 때의 기억으로 거머리를 매우 싫어했던 기억이 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거머리의 침에는 피를 굳지 않게 하는 물질이 있습니다.거머리 침샘에는 피의 응고를 막는 항응고효소(anticlotting enzyme)와 마취제(anesthetic), 피를 많이 흐르게 혈관확장물질(vasodilator)가 있어, 이것들을 혈관에 집어넣으니 피가 응집하지 않고 거머리 목으로 술술 넘어가며, 거머리가 문다는 것을 못 느낄뿐더러 깨문 자리가 발그레하게 붓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4
0
0
간만에 비도오고 해서 치킨과 맥주를 배달시켰는데...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탄산음료는 온도를 낮춰서 기체용해도를 높인상태에서 과다하게 이산화탄소를 녹인 용액이므로 매우 불안정한 상태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음료를 흔드는 등 자극을 주게되면 이산화탄소가 활성화 되어서 이 이산화탄소들이 한번에 거품으로 뛰쳐 나오게 되는 거죠.좀 더 과학적으로 설명드리자면 물질의 활성화상태는 물질의 에너지 준위에 따른 것입니다. 기체는 에너지 준위가 높고,따라서 활성화 되어있고 불안정한 상태고체는 에너지 준위가 매우 낮고,극히 안정화 되어있는상태액체는 이 기체와 고체 상태의 중간이 됩니다. 따라서 온도를 낮추면 기체도 비교적 안정화 되어서 액체내에 잘 녹아들어가는 것이죠.그러나 기체는 액체애 비해서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흔들면 기체가 활성화되어 제일먼저 튀어나가게 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4.04
0
0
721
722
723
724
725
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