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과일장수
과일장수

콜라 멘토스 넣으면 폭발하는 이유

콜라 멘토스 넣으면 폭발하는 이유가멀까요

유툽 같은 곳 보면 분수가되는데

왜 이런거죠

과학적 접근으로 알려주세요

궁금합니다.ㅎ.ㅎ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콜라에 멘토스 캔디를 넣으면 폭발하는 이유는 이 두 가지 물질이 서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멘토스 캔디 안에는 탄산화된 나트륨이 들어 있습니다. 캔디의 겉면은 매우 부드러운 산성 포도당이 덮여 있습니다. 이 포도당 겉면은 물이나 콜라 같은 탄산음료에 닿으면 물 분자와 화학 반응을 일으키면서 탄산가스를 방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캔디 안의 탄산화된 나트륨이 액체에서 가스 상태로 바뀌면서 매우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콜라에 멘토스 캔디를 넣으면 캔디 겉면에 묻어 있는 포도당과 콜라 안의 탄산 가스가 상호작용하면서, 매우 큰 양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발생합니다. 이 가스가 생성되면서 액체의 부피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그 결과 콜라와 멘토스 캔디가 함께 폭발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의 표면이 콜라 내부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멘토스를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구멍들이 엄청나게 많이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구멍들은 콜라 안에 있던 이산화탄소를 콜라 안에서 엄청나게 나오도록 촉매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갑자기 엄청나게 많이 뽑혀나오는 이 현상을 폭발한다고 생각하게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Mentos)는 콜라와 함께 반응하여 폭발하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물리화학적인 반응으로 설명됩니다.

      콜라는 탄산음료로서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멘토스와 같은 과자나 사탕은 미세한 표면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 표면 구조는 많은 작은 구멍이 있는 표면을 형성합니다. 멘토스를 콜라에 넣으면 이 구멍들이 이산화탄소 기체가 빠르게 방출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멘토스의 표면 구조에 의해 이산화탄소 기체가 포착되고, 이에 의해 콜라가 급격하게 탄산가스를 방출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콜라가 빠르게 거품이 생기며 폭발적인 반응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반응은 멘토스의 표면 구조와 콜라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물리화학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실험은 안전에 주의해야 하며, 적절한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해야 합니다

    • 콜라와 멘토스를 섞으면 폭발하는 것은 이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멘토스에 포함된 성분 중 하나인 면역계를 자극하는 성분인 포타슘 크로마토(K2CrO4)와 콜라에 포함된 탄산(H2CO3)이 반응하여 이산화탄소(CO2)와 크롬산염(Cr2(SO4)3) 그리고 물이 생성됩니다. 이 때 생성된 CO2 가스는 콜라 용기 안에서 압력을 증가시켜 용기가 터지는 원인이 됩니다.

      이 반응은 폭발적일 뿐만 아니라, 위험할 수 있으므로 꼭 전문가의 지도 하에서 실험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실험을 시도하는 것은 위험하며, 콜라를 뿌리면서 많은 낭비와 환경 오염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비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