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태풍의 이름은 누가 짓나요? 태풍을 처음발견한 사람이 짓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2000년부터 태풍 명칭 짓는 방법이 아래와 같이 정해졌는데,아시아태풍위원회에 가입된 한국 포함 14개국에서 태풍의 이름을 10개 씩 제출하였고, 총 140개의 이름이 작성 되었습니다.그리고 다시 이 140개를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매년 5개의 그룹이 번갈아가면서 태풍이 생성되는 순서대로 이름이 부여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10
0
0
매번 철새들은 찿아오는데 이동할때 방향을 어떻게 잡고 이동 하는지 궁굼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한 과학적 근거는 아직 밝혀지지는 못했지만, 철새들 내부에 특수한 생물 시계가 작동해서 해마다 같은 날짜에 이동을 시작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방향의 경우 대부분의 철새들은 낮에는 태양을 기준으로 이동하고, 밤에는 별을 기준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10
0
0
새끼 손가락이 없으면 정말 손에 힘을 잃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손의 다섯 개의 손가락은 각자의 역할이 있습니다.물건을 잡을 때 손가락의 역할은,엄지 손가락의 경우 물건을 잡을 때 힘을 주는 손가락이며,새끼 손가락의 경우 바로 그 물건이 멋대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지지대가 되는 손가락 입니다. 그래서 만약 새끼손가락이 없거나, 다쳐서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면 손의 힘을 제대로 사용하기가 힘들어진다.
학문 /
기계공학
23.04.10
0
0
내가 듣는 내목소리와 녹음된 내목소리중 어느목소리가 진짜 내목소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녹음되서 들리는 목소리가 상대방이 듣게 되는 본인의 목소리 입니다.내가 듣는 내 목소리가 다른 이유는 자신의 목소리는 입 밖의 외부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와 인체 내부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섞여소리가 입 밖으로 나감과 동시에 자신의 두개골 뼈를 통해 달팽이관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즉, 오직 나만 들을 수 있는 목소리인 것 입니다.
학문 /
화학
23.04.10
0
0
아래에서 위로 어는 고드름의 원리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어느점은 0도 입니다. 지붕이나 천장에 쌓인 눈은 햇빛에 의해 영상의 온도가 되면 녹아서 물이 되어 이 지붕이나 기둥을 타고 내려가게 되는데, 이 때 해가 지거나 찬 기류와 와서 주변 온도가 영하가 되면 다시 얼게 됩니다.이때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물은 끝부터 얼게 되고, 이런 얼음 표면을 타고 눈이 녹은 물이 타고 내려오면서 다시 얼게 되는데 이 것이 바로 고드름의 원리 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10
0
0
목성의 위성 타이탄에 인류는 몇번갔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까지 총 4번의 탐사가 진행되었고, 2026년에 5번째 탐사가 예정되어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10
0
0
겨울과여름 해가지는시간이 왜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이유는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할 때 자전축이 23.5도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하기 때문입니다.공전은 지구가 태양주변을 도는 것을 의미하고 한바퀴가 돌면 1년 (365일) 이고자전은 지구가 한바퀴 돌면 하루 (24시간) 이 됩니다.우리나라는 북반구 적도 위에 있으며, 여름에는 빛이 적도 위쪽으로 겨올에는 아래쪽 들어옵니다.바로 이 것 때문에 시차가 발생되게 되는데, 자전하는 속도는 항상 일정하므로 하루가 24시간인 것은 변화가 없지만, 공전 시 23.5도 만큼 기울어져 있었기 때문에 겨울이 낮이 짧고 밤이 길고 여름이 낮이 길고 밤이 짧게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10
0
0
무리동물보다 혼자생활을 좋아하는 동물은 호랑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호랑이는 고양이과 맹수에 속하며, 사자를 제외한 고양이과 맹수들은 모두 독립된 생활을 합니다.고양이과 맹수들은 질문자님께서느 여쭤보신 호랑이 외에도 표범, 치타, 고양이, 삵 등이 해당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10
0
0
고래는 옛날 육지에 사는 동물이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고래는 새끼를 낳는 포유류에 해당됩니다.우리가 알고 있는 어류는 알을 낳는 생물들이지요.먼 옛날에 고래는 육지에서 생활했지만, 물에서 살 수 밖에 없는 환경이 구성되었고 지느러미와 물에서 살 수 있는 형태로 점차 진화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현재의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10
0
0
여름철에 장마가 자주 오는 이유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장마는 북태평양 고기압과 오호츠크해 고기압 이 2개의 고기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북태평양 고기압은 바다에서 발생되어 고온 다습한 특성을 가지고 있고, 반대로 오호츠크해 고기압은 동해 쪽에 위치해 있으며, 저온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이 두 기압은 서로 다른 온도를 갖고 있기 떄문에 이 둘이 만나면서 대기가 불안정해 집니다. 이때 강한 비구름이 발생하게 되고 장마가 시작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10
0
0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