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흑두루미
흑두루미23.04.10

겨울과여름 해가지는시간이 왜다른가요?

겨울에는 해가 빨리지고 여름에는

해가 늦게지던데 왜그런지 궁굼합니다

겨울에는 해빨리지니 춥고 여름에는

늦게지니 많이덥고.

여름 겨울 해지는 시간이 왜이렇게

많이 차이가 나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겨울과 여름 해가지는 시간이 다른 이유는 지구의 공전 궤도가 태양을 중심으로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으로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궤도가 타원형을 그리는데,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을 퍼헤리온(Périgée)이라고 하고, 가장 멀어지는 지점을 아포헤리온(Apogée)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것에 따라 태양에서 비롯된 에너지 양이 다르기 때문에 계절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겨울과 여름 해가지는 시간이 다른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계절 변화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유는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할 때 자전축이 23.5도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공전은 지구가 태양주변을 도는 것을 의미하고 한바퀴가 돌면 1년 (365일) 이고

    자전은 지구가 한바퀴 돌면 하루 (24시간) 이 됩니다.

    우리나라는 북반구 적도 위에 있으며, 여름에는 빛이 적도 위쪽으로 겨올에는 아래쪽 들어옵니다.

    바로 이 것 때문에 시차가 발생되게 되는데, 자전하는 속도는 항상 일정하므로 하루가 24시간인 것은 변화가 없지만, 공전 시 23.5도 만큼 기울어져 있었기 때문에 겨울이 낮이 짧고 밤이 길고 여름이 낮이 길고 밤이 짧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공전하는 공전궤도는 태양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이루어지지만, 지구의 자전은 극지방과 적도 부근의 자전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가 태양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울기로 인해 태양에서 비추는 태양광이 일정하지 않고, 계절에 따라 태양이 지나가는 경로와 각도가 달라집니다.

    북반구에서는 6월의 하양점 때 태양이 수직으로 비추기 때문에 더 많은 태양광을 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해가 빠르게 뜨고 늦게 지는 것입니다. 반면, 12월의 동지점 때는 태양이 지평선에서 가장 낮은 각도로 비추기 때문에 태양광을 적게 받아서 해가 늦게 뜨고 빨리 지는 것입니다.

    반대로, 남반구에서는 북반구와 반대로 계절이 반대이므로 6월에는 동지점이고 12월에는 하양점이 되기 때문에 해가 늦게 뜨고 빨리 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지구상의 다양한 지역에서는 하루의 길이와 낮과 밤의 시간이 계절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