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이산화탄소 포집 공정이 과학적으로 가능함에도 실행하지 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포집량이 실제로 40~80% 사이로 효용성이 떨어지기 대문에 실행되지 못하고 있습니
학문 /
화학
23.04.06
0
0
계전기가 동작하는 원리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전기(릴레이)는 자동제어부품 중의 하나로 In-Put (전기, 자기, 소리 빛 ,열의 여러 가지의 신호)가 단자에 연결되었을 때그 접점 터미널이 이동하여 회로를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 Out-Put 을 가지게 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6
0
0
초코우유는 키 성장에 도움이 안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정확히는 초코우유에 함유된 카페인이 문제입니다. 이 카페인은 아이의 체내에 3-4일이나 머물면서 숙면을 방해하고 칼슘, 칼륨, 마그네슘 흡수를 방해하게 됩니다.그래서 아이들에게 커피 등의 카페인 음료를 먹지말라고 하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전자접촉기와 릴레이가 생긴게 비슷한것이 있던데 어떻게 왜관상 구분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접촉기와 계전기(릴레이)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 드릴께요.우선 가장 큰 차이점은 전자접촉기는 대 전류를 처리하는 반면 릴레이는 작은 전류를 처리합니다.둘의 크기에서도 차이가 가는데요, 전자접촉기가 대 전류를 처리하기 때문에 릴레이보다 크기가 큽니다.릴레이는 보통 많아야 최대 10A 정도의 전류를 처리하는게 가장 적합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6
0
0
데오드란트는 어떻게 땀 냄새를 무향으로 바꾸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데오드란트의 원리로 이 이유를 알아 볼 수가 있습니다.우선 우리 몸의 땀 샘은 두 종류로 존재하는데,1) 에크린샘에서 체온 조절을 위해 무색 무취의 땀이 흐릅니다.2) 아포크린샘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한 암모니아 냄새의 땀이 납니다.아포크린샘 부근에 박테리아가 땀을 먹고 악취를 풍기는 길초산을 분비하게 되는데, 데오드란트는 바로 이 박테리아를 죽이는 성분이 있습니다. 또한 데오드란트의 알루미늄 염은 모공을 막아 땀이 나는 것 자체를 막아줍니다.즉, 무향으로 나게 하는게 아니라 냄새의 원인이되는 아포크린샘이 작용 못하도록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오래 방치된 볼링공이 갈라진 원인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예상되는 원인은 3가지가 있습니다.1) 기존에 사용하면서 축적된 데미지로 인한 크랙2) 보관 중인 장소의 온도 변화에 의해 공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면서 크랙이 발생3) 보관 중인 장소가 공의 일부분만 직사광선이 노출되어, 비대칭으로 팽창이 일어나 크랙이 발생으로 볼 수가 있겠습니다.
학문 /
물리
23.04.06
0
0
왜 소변의 색은 노란색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소변의 색이 노란 이유는 우리의 몸에서 분비되는 유로크롬, 유로빌린 이라는 색소가 작용해서 입니다.체내 수분량에 따라 오줌 색깔의 노란 정도가 차이가 나게 되고, 오줌의 색깔이 짙은 노란색을 띨 경우, 몸에 수분이 부족하다는 신호입니다. 특정 질병과는 상관이 없고, 물을 많이 마셔주면 다시 색이 투명해지고 옅어질 수 있습니다. .
학문 /
화학
23.04.06
0
0
중국이 희토류를 규제하는거 같은데 , 희토류가 어디에 쓰이길래 규제하는지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중국은 희토류를 채굴부터 제련, 합금, 모터 제조까지 자국에서 모든 공정을 소화할 수 있는 유일한 국가입니다.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규제한다는 것은 관련 업체를 보유하지 못한 미국/유럽은 시장 진출이 어려워지고 중국 의존도가 강해질 수 밖에 없음을 의미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6
0
0
왜 빛의 속도는 절대적이라고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우리는 광속이 일정하다 라는 의미를 정확하게 정의를 해야합니다.이 것은 단순히 관찰자가 움직임이 있더라도 일정하다는 의미가 됩니다. 보통 다른 물체의 속도는 관찰자가 운동하면 바뀌게되는데, 빛의 경우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광속은 일정하다하는 말이 생기게 되었습니다.사실, 광속은 매질에 따라 변합니다. 또한 광속이 최초의 광속과 지금 광속이 같을지 아닐지는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실제로광속이 변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결국 광속이 일정한 이유는 빛의 속도가 일정한게 아니고 c 라는 속도가 일정한 겁니다.어떤 물체든 c로 움직이면 관찰자의 운동상태에 관계없이 갖도록 우리 시간과 공간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문 /
물리
23.04.06
0
0
LED는 전구교체가 필요없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LED조명의 방식은 220v의 전기를 공급받아 LED PCB 기판에 세팅되있는 값에 맞춰 DC(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컨버터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빛을 내는 것을 의미 합니다.사실 LED발광부는 자체는 그 수명이 매우 길어서 반영구적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다만 전원부에 속해있는 콘덴서 등의 부속들은 기본적으로 수명이 짧게는 수개월에서 길게는 3년가량인 경우가 허다하여 이런 부분 때매 교체가 필요한 경우가 생깁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