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세계에서 가장 강한 강도를 가진 광물과 그의 용도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보석광물중에는 우리나라 말로는 옥 영문으로는 제이드가 강도가 가장 강합니다.보통 비취=제이다이트, 연옥=네프라이트라는 보석을 의미 합니다.혹,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착각하는게 다이아몬드인데, 다이아몬드는 긁힘에 가장 강한 보석입니다. 즉 '경도'가 가장 강한 보석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6
0
0
우리나라 '쌀'의 품질이 유명한 특정 지역은 왜 그런 것인지 과학적 설명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쌀은 품종도 중요하지만, 재배하는 토양의 입지적 조건이 가장 중요합니다.조건은 기후 / 토양 / 수질 등이 있는데요.기후 : 적정온도 범위내에서 기온이 타 지방에 비하여 다소 낮고 특히, 결실기에 일조량이 많고 밤낮의 기온차가 커서 결실이 잘 됨토양 : 토질은 찱흙과 모래가 적절히 혼합된 사양질 토양으로 양분흡수가 적절히 잘 됨수질 : 88%가 지하수를 이용하며 관개수 중에는 타지역에 비해 밥맛을 좋게하는 마그네슘(Mg) 등 무기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위 조건들이 품질좋은 쌀을 결정하는 입지적 조건이라고 보실 수 있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4.06
0
0
진공펌프의 경우 그냥 펌프랑 어떤점이 다른지 (진공의 역할)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진공펌프와 압축기의 차이는 공기를 '대기압력' 보다 비교적 낮게 해주면 진공 상태가 되어 이를 이용해 진공 펌프로 사용하게 됩니다.반대로 대기압력보다 높게 해주게되면 압축기가 됩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아이스크림은 왜 냉동실에 얼려도 딱딱해지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실제로는 딱딱해져 있는데, 딱딱함의 정도 자체가 다른 성분이기 때문입니다.또한 유제품의 성분에 따라 어는점이 차이가 나서 물 성분이 많이 포함된 제품과 유제품 성분이 많이 포함된 제품의 딱딱함 정도의 차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네요.
학문 /
화학
23.04.06
0
0
무중력 상에서의 물을 마시거나 액체를 다루는 것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 비행사들은 우주선 안에서 무중력상태에서 수분을 섭취하기 위하여 빨대로 공중에 떠있는 물이나 주스를 마실수 있습니다.또한 무중력 상태임에 따라 물이 퍼지지 못하고 표면장력에 의해 둥근 모양을 유지하여 떠다니게 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6
0
0
술을 마시면 어떠한 원리로 기억을 못하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전문용어로 알콜성 단기기억상실 증상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 취한 수준을 넘어서서 마시면 기억을 담당하는 뇌기관이 일시적으로 기능을 상실하여 그 시간대의 기억을 저장하지 못하여 기억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학문 /
화학
23.04.06
0
0
자동차 도장면 코팅을 하는 '왁스'에 대한 과학적 접근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왁스는 일반적으로 그냥 단순 코팅 역할을 하는 재료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폴리싱으로 표면정리를 하고 그 위에 단순히 왁스를 발라주는 것이기 때문에, 왁스와 유리막코팅은 같은 개념이지만 내구성은 유리막코팅이 훨씬 더 좋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4.06
0
0
최초의 합성 플라스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합성 플라스틱은 당구공 때문에 시작되었습니다.당시 코끼리 상아로 당구공을 제작하였는데, 재료가 되는 코끼리 수의 급감과 상아 가격 상승으로 이 재료를 대체할 물질을 개발하는데 사람들이 혈안이 되었고, 1869년 하야트라는 인쇄업자가 톱밥과 종이, 그리고 풀을 섞어 당구공을 만들려는 시도를 하다가 우연히 니트로 셀룰로오스와 장뇌를 섞었을때 매우 단단한 물질이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것이 최초의 플라스틱인 셀룰로이드 입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4.06
0
0
왜 같은사람인데도 한국인이 유독 매운걸 잘먹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말씀하신대로 한국 음식이 양념이 발달하였고, 양념에 주로 쓰는 재료들이 고추 등 매운 재료들을 사용하게 됩니다.조상 세대부터 이러한 재료들에 자주 노출이 되고 적응되다보니 매운 음식의 노출이 적은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매운 것을 잘 먹게 진화된 것 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6
0
0
우주 행성까지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는 망원경으로 별의 모습은 볼수있지만 실제로는 거리는 알수 없습니다행성의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연주시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방법은 지구가 태양을 공전할때 측정되는 각도를 계산해 오차를 측정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6
0
0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