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산성비를 그냥 맞으면 머리카락이 빠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산성비는 탈모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그 이유로는 산성비의 ph 농도로 설명 할 수 있는데요, 샴푸의 ph 농도는 3~4 정도이며, 산벙비는 5~6 으로 비슷한 수준입니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산성비를 오래 맞는다면 탈모에 영향을 끼칠수있다고는 합니다.
학문 /
화학
23.04.04
0
0
반도체 공정중에 나오는 각종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장비가 스크러버 장비라고 하는데 스크러버가 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scrubber는 반도체에서 gas를 사용하는 공정 (CVD,Etch등 )에서 매우 중요한 부대설비의 하나입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4.04
0
0
나프탈렌은 왜 물에 녹지 않은지 이유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극성물질은 쉽게 말하면 "물과친한물질" 입니다. 그래서 물에 잘 녹습니다.무극성물질은 반대로 "기름과친한물질"입니다. 그래서 기름에 잘 녹습니다.극성물질은 대부분 기름에 잘 안 녹고 무극성물질은 대부분 물에 잘 안 녹습니다. 물과 기름이 안 섞이시는 것은 아시죠? 나프탈렌은 무극성물질 입니다. 그래서 물에 녹지 않습니다.
학문 /
화학공학
23.04.04
0
0
빛의 속도는 항상 일정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상대성 이론의 전제는 빛입니다. 즉 빛은 이렇다라는 가정을 세워놓고 거기에 따라 설명한 이론입니다. 애초에 증명을 할 수 없는거죠. 가정으로 시작했으니...허나 그 가정이 정말로 아직까진 과학적으로 측정결과와 일치하기때문에 현대과학의 기둥이 되고 있죠. 수천년뒤에 깨질 수도 있는겁니다. 어떤 천재가 빛이 기준이 아니라 제3의 물질이다??? 라고 하면 바뀌는 거죠. 참고로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으로 노벨상을 받은게 아닙니다. 광자이론으로 받은거죠. 노벨상의 수상전제조건 중 하나가 인류에 보탬이 되고 실증가능해야 합니다. 상대성이론은 혁명적이지만 아직 이론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4
0
0
제트기류는 지구온난화에 따라 어떻게 변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최근 북극한파라 불리는 뉴스들이 있었지요. 이는 북극, 시베리아, 캐나다북부, 북유럽 상공에 위치하며 벽의 역활을 해야 하는데 제트기류가 지구온난화로(주원인) 약해져서 아시아지역, 유럽, 북아메리카 등 중위도까지 내려와 북극의 찬 공기가 밀려내려온 현상입니다. 제트기류가 약화 된다면 이런 일들이 자주 일어나게 되겠지요. 만일 제트 기류가 없다면 지구의 대기가 제대로 섞이지 않아 지구의 온도는 정상적이지 못할 것이고 이상 상현상들이 계속 생기게 될것입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4
0
0
광합성 과정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광합성은 식물이 빛을 이용하여 양분을 스스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합니다.물과 이산화탄소를 In put 으로 포도당과 산소를 Out put 하게 됩니다. 여기서 포도당은 녹말의 형태로 저장하고 산소는 배출됩니다.이 반응식을 거꾸로 돌리면 세포호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 고에너지에서 저에너지로 가는 세포호흡에 비해 광합성은 저에너지 물질인 이산화탄소, 물을 이용해 고에너지 물질인 포도당을 합성해야 하기 때문에 세포호흡에 비해 훨씬 복잡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4
0
0
블루라이트 차단은 상술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블루라이트 차단 안경이란 말그대로 눈에 해로운 블루라이트를 차단해주는 것이기에 눈의 피로감이나 부담감이 적어집니다.바로 즉시 느끼는 이로움은 못느끼실수 있지만 장기간 오래동안 블루라이트에 노출이 많이 되면 안질환에 걸릴 위험도 있습니다.블루라이트차단 안경이 그것을 예방해주는 것이기에 좋은 안경이라 할수도 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4
0
0
아이스크림을 어떻게 튀길 수 있는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적원리: 튀김이라함은 속제료는 익되 싱싱하게 살아있고 튀김옷은 바삭하게 하는게 튀김인데 아이스크림 튀김은 꽁꽁얼은(-20도이하의것) 준비된 튀김을 열이 아이스림까지 닿기 직전 고온으로 겉만 튀겨내는 즉, 아무튼 높은온도에서 겉만 바삭하게 익히는것 정도가 되겠네요
학문 /
화학
23.04.04
0
0
토성에 착륙한 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목성과 토성 등은 모두 가스행성으로 수소나 헬륨 등이 대부분 차지해 탐사선 착륙 개념 성립하지 않아 주변의 생명체 오염 방지 위해이 행성을 탐사선 파괴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질문하신 "착륙" 이 불가능한 곳으로 착륙한 적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4
0
0
인공장기라는 게 과학적으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장기는 단어 그대로 사람의 장기를 대신할 수 있는 인위적으로 생산한 조직(또는 기계)를 말합니다.인위적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언뜻보면 작용이 불가능할 것 같지만, 생체 거부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실용성이 있습니다. 우선 가장 대표적인 인공 장기는 치아입니다. 요새 흔히 하는 인플란트도 인공장기의 한 부분입니다.또한 정말 장기라고 부를 수 있는 부분은 인공심장입니다. 인공심장판막도 존재하며, 1950년대부터 연구가 이어져 왔습니다. 최초의 인공심장이 개발된 것은 1969년 경인데 기계이기 때문에 MRI를 찍으면 큰일납니다. 인공심장을 성공적으로 이식한 사람은 1만명 수준입니다.마지막으로 완전히 특정 세포나 기관이 죽었다면, 장기를 이식해도 소용이 없는 경우가 있어서 100%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인공장기의 경우 매우 고가이며, 기본적으로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원래 장기를 따라갈 수 없기 때문에, 온전하게 대체하기는 어렵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4
0
0
721
722
723
724
725
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