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학문
어금니 발치이후 관련으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치아의 갯수가 줄었기 때문에 저작시 저작효율이 감소하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연구에 따르면 맨뒤의 어금니가 없더라도 실제 인간이 느끼는 주관적인 차이는 없다고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 영향을 받아 임플란트나 보철치료시 저작근과 가까워 저작력이 집중되어 보철물의 손상이 심한 최후방 어금니를 생략하고 치료하는 SDA concept(Shortened dental arch concept)의 진료 철학도 있습니다.2. 임플란트를 하지 않으실 경우 맞물리는 반대측 치아(대합치)가 발치 공간으로 솟구쳐 이동될 가능성이 높으며, 연구에 따르면 잇몸이 약할 수록(치주염이 심한 환자일수록) 이동하는 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3. 아무래도 흔들려서 발치하신 것으로 볼때 만성치주염을 앓고 계신것으로 판단됩니다. 치주염 환자의 구강위생관리를 적용하여 관리해주시는 것이 도움될 것이라보입니다. 평소에 하루 3번 양치질이나 치실 사용 외에도 6-12개월 주기로 꾸준한 스케일링 및 필요시 치주치료(잇몸치료)를 정기적으로 받으시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18
0
0
병원만가면 혈압이 높을까요? 약을먹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병원에 가거나 의사 앞에서 혈압이 높아지는 것을 '백의 고혈압(white coat hypertension)'이라고 부릅니다. 말 그대로 흰 가운을 입은 의사 선생님을 보게되면 환자분께서 긴장하여 혈압이 상승되는 현상입니다.실제로 많은 경우에서 관찰이 가능하며, 병원에 가실때 최대한 안정된 마음을 유지하시는 것이 정확한 혈압 측정 및 진단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21.03.18
0
0
칫솔 보관하는방법, 바꾸는 시기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칫솔은 건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보관하시는 것이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측면에서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출시된 치아 홀더를 구입하셔서 보관하시면 무난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개개인마다 양치질 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얼마간의 주기로 칫솔을 교체해야한다는 정해진 규칙은 없습니다만, 평균적으로 3개월 주기로 교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사용 중 칫솔 모가 휘어지게 되면 치태 제거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3개월 이전에 칫솔 모가 휘어진 것이 관찰될 경우 칫솔을 새 것으로 교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1.03.18
0
0
사랑늬 , 임플란트 치료에 대해서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사랑니가 똑바로 나와있는 상태이며 맞물리는 사랑니와 정확하게 교합될 경우 굳이 발치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그러나 현대인은 진화과정에서 턱뼈의 크기가 감소하여 사랑니가 똑바로 나오지 못하고 부족한 공간때문에 누워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누워서 나오는 사랑니는 사랑니 앞 치아(제2대구치)의 후방부위 충치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치관주위염이라는 잇몸 염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따라서, 똑바로 나와있으며 윗니와 맞물려서 기능상 문제가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사랑니는 발치하는 것이 옳습니다.임플란트의 경우는 치주염, 치아 구조물을 광범위하게 손상시킨 충치, 외상으로 인한 치아의 파절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치아를 살릴 수 없을 경우 재건 목적에서 선택할 수 있는 치료법 중 한가지입니다. 과거에는 틀니나 브릿지를 이용한 치료를 하였으나, 스웨덴 예테보리 대학 브레네막 교수가 골유착(Osseointegration)을 발견한 후 임플란트라는 획기적인 치료가 등장하여 치과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18
0
0
이빨이 뿌러저 이빨을 해넣은지 오래되었는데 괜찬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거의 20년이 된 보철물이군요. 일반적으로 치아 보철물의 평균적인 수명은 8년 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무조건 8년만 간다는 의미는 아니라 평균적인 수명이기에 편차가 개인마다 매우 큰 편입니다.20년 정도 된 보철물이라면 보철물 내부의 접착제가 녹아나와서 내부로 충치를 일으키는 세균들이 이동했을 가능성도 있고, 보철물 자체의 재료적 수명이 거의 다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보철물이 흔들리거나 파절된 상태가 아니라면 굳이 교체하실 필요는 없으나, 가까운 치과에 내원하셔서 보철물의 상태를 검진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성형외과
21.03.18
0
0
와파린 복용중 임플란트시술 괜찮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어떤 질환때문에 와파린을 복용하고 계시는지는 모르지만, 와파린의 경우는 아스피린과 달리 함부로 복용 중단을 하기 어려운 약입니다.와파린을 처방하신 주치의 선생님께 의뢰서를 보내 자문을 구한 뒤, 끊은 상태에서 발치 혹은 임플란트를 진행하실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끊지 않는 것이 좋기에 함부로 끊지 않습니다.한편 와파린을 복용하시는 환자분들은 국소적 출혈시 지혈이 잘되지 않기때문에 임플란트 시술시 최대한 골이식을 자제하는편이며, 잇몸 절개도 최소한으로 하거나 무절개 방식도 추천되고 있습니다. 잇몸을 절개하는 양이 적을 수록 출혈도 적고 지혈이 쉽기때문에 출혈로 인한 문제가 생길 확률이 낮아집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1.03.18
0
0
몸이 피곤할때 먹는 약은 어떤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만성적인 피로감이 있으신가 봅니다.종합비타민제를 드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특히 비타민B군이 중점적으로 함유된 비타민 보충제품을 구입하셔서 드시면 효과가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내과
21.03.18
0
0
잠 잘때 이악무는 습관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이악물기 습관이 있으시군요. 가까운 치과의원에 내원하셔서 경성 스플린트를 제작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스플린트는 착용할 경우 저작근이 과도하게 긴장하는 것을 방지해주며, 더불어 이갈이 습관도 방지해줍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1.03.18
0
0
혀 백태 제거하는 방법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일반적으로 혀의 백태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형성되는 백태는 다른 소화기계 질환을 암시하는 증거가 될 수도 있으니 내과적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1.03.18
0
0
턱관절 디스크 탈출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 상태를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라고 부릅니다. 즉 턱관절 디스크가 전방으로 이탈되어 원위치로 돌아오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일반적으로 턱관절 정복술(TMJ manipulation technique)을 통해 턱관절에서 빠져나간 디스크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재위치시킨 후 스플린트 치료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재위치된 디스크가 안정화될 수 있도록 치료합니다.온찜질과 같은 물리치료도 도움이 됩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1.03.18
0
0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