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서양에는 고인돌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초기 지배층의 무덤 역할을 하기 위해 세운 석제 구조물의 한 종류이다.거석(巨石)문화를 대표하는 유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에서는 기원전 4천년~기원전 3천년, 아프리카와유럽에서도 거의 비슷한 시기에 건설했다고 추정된다. 영국과 아일랜드에도 스톤헨지라는 비슷한 것이 있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9
0
0
교회에서 말하는 성부성자성령?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하느님의 위격은 성부, 성자, 성령 세 가지(person, 페르소나)이며 서로 구별되면서도 본질은 같다(ὁμοούσιος)는 그리스도교의 교리이다.성부도 하느님, 성자도 하느님, 성령도 하느님이다. "그럼 기독교는 삼신론인가"라고 묻는다면 아니다. 아브라함 계통 종교는 반드시 유일신론이다. 이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삼위일체론이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9
0
0
에세이와 수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국어사전에서는 수필과 에세이(essay)는 같은 말이라 해석한다. 즉 수필을 영어로 에세이라고 한다는것이다. 한편 수필을 에세이와 미셀러니(경수필)로 나누는데 에세이는 어느정도 지적(知的), 객관적, 사회적, 론리적성격을 지니는 소평론 (따위)이 그것이며 미셀러니는 감성적, 주관적, 개인적, 정서적 특성을 가지는 글로써 좁은 의미의 수필을 말한다는것이다. 이는 사전해석과 상충되기도 한다.
학문 /
철학
23.02.19
0
0
외국에서 핸드셰이크(악수)가 인사가 된 이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악수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통하는 세계 공통의 인사로, 분명하지 않지만 악수의 시초에 대해 전해지는 이야기들이 있다. 고대 바빌론에서는 신성한 힘이 인간의 손에 전해지는 것을 상징하는 의미로 통치자가 성상의 손을 잡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9
0
0
에덴동산은 실존했을지, 에덴은 어디였을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에덴동산의 위치는 타브리즈 근처의아드지 차이 골짜기 서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는 것. 또 에덴동산은 '에덴의 동쪽'에 있고 고대 아르메니아에 위치했으며 현재 이란 서부 지역이라고 추정했다.
학문 /
역사
23.02.19
0
0
미국개척시대에 골드러시가 유행하게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9세기 미국 캘리포니아 등지에서 사금이 발견되면서 1850년대의 미국 개척민들이 너도나도 캘리포니아로 몰려간 현상을 말한다. 그 수는 무려 25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골드러시에 참여한 개척민들에게 '포티나이너(Forty-niner, 약칭 49er)'라는 고유명사까지 붙었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9
0
0
칠종칠금이라는 고사성어의 의미와 유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한진춘추, 자치통감, 삼국지연의에서 유래된 고사성어로 칠금칠종이라고 사용하기도 한다.제갈량이 남만 정벌 때 남만왕 맹획을 일곱 번 잡고 일곱 번 놓아줌으로써 남만을 복속시켰다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9
0
0
부활절이나 성탄절에 교회나 성당에서 부르는 성가연속곡을 칸타타라고 부르는데 혹시 칸타타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교회 칸타타는 일요일이나 교회력(歷)의 각 축제일을 위한 예배용 음악으로 작곡된 것이다. 교회 칸타타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에 걸쳐 독일에서 발달하였는데, 코랄 가락이 즐겨 쓰였고 합창이 매우 중요시되었다. -출처: 위키백과
학문 /
음악
23.02.19
0
0
짜장면은 어느나라에서 시작이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890년대 중국 산둥(山東) 지방에서 건너 온 부두 근로자인 쿠리(苦力·하역 인부)들이 인천항 부둣가에서 간단히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춘장에 국수를 비벼 먹던 음식이 짜장면의 시작이었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9
0
0
조선의 마지막 옹주 덕혜옹주의 업적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덕혜옹주가 조선을 위해 무언가 해야 했다는 기대의 근거는, 그저 왕가의 딸로 태어났다는 것 뿐이다. 시대적 상황이 안 좋아 의지와 상관없이 망국의 마지막 황녀가 되어버린 그것도 정신병을 앓고 있던 여성에게, 죽음의 두려움도 이기는 강한 정신력과 제 한 몸 내던져 조국을 위해 헌신하는 숭고한 희생 정신을 가진 히어로가 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9
0
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