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음악

hswisdom
hswisdom

부활절이나 성탄절에 교회나 성당에서 부르는 성가연속곡을 칸타타라고 부르는데 혹시 칸타타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나요?

부활절이나 성탄절에 교회나 성당에서 부르는 성가연속곡을 칸타타라고 부르는데 혹시 칸타타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노래하다 라는 이탈리아어 Cantare에서 유래한 칸타타는 노래 한번 부르다 는 의미이며 알레싼드로 그란디가 이용어를 처음 사용했습니다.

      이 의미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는데 17세기 초 단성적 마드리갈의 의미에서 17세기 후반에 다성적 실내 칸타타혹은 교회 칸타타로 발전하였고 18세기 극적인 형태의 칸타타에서 19세기 일반적으로 종교적 가사를 갖는 칸타타로 변화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교회 칸타타는 일요일이나 교회력(歷)의 각 축제일을 위한 예배용 음악으로

      작곡된 것이다. 교회 칸타타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에 걸쳐 독일에서

      발달하였는데, 코랄 가락이 즐겨

      쓰였고 합창이 매우 중요시되었다.


      -출처: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