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아수라장에서 아수라가 지옥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아수라는 본래 산스크리트어 ‘asur’를 소리나는 대로 풀이한 말이다. 중생이 윤회하는 천(天), 인(人), 아수라(阿修羅), 아귀(餓鬼), 축생(畜生), 지옥(地獄) 가운데 한 곳을 가리키기도 한다. ‘아소라’ ‘아소락’ ‘아수륜’ 등으로 표기하며 줄여서 ‘수라(修羅)’라고 한다. 수라는 ‘추악하다’라는 뜻이다.
학문 /
철학
23.02.16
0
0
핀테크가 기업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핀테크는 금융과 기술의 합성어로, 모바일, 빅 데이터, SNS 등의 첨단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 모바일을 통한 결제 · 송금 · 자산관리 · 크라우드 펀딩 등 금융과 IT가 융합된 것이다. -출처:위키백과
학문 /
음악
23.02.16
0
0
인도의 카스트제도가 만들어진 기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본래 인도유럽계의 조상이 만든 제도이나 유럽에서는 소수 정도의 제도만 남고 사라지게 되었고 인도에서는 카스트가 계속 발전하게 되었다. 인도의 카스트는 전근대 수준의 문명이 가진 신분제로써는 정점에 선 신분제로 당시 사람들이 생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지성이 동원되었다. 따라서 외부의 정복자들 역시 인도 지배층과 협력하면 자발적으로 신분제를 지지하는 바이샤, 수드라들을 얻을 수 있었기에 인도의 많은 상위 카스트가 외부 정복자들의 공격에도 불구하고 오랜 세월 그 지위를 누렸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철학
23.02.16
0
0
카르페디엠이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라틴어 Carpe diem은 영어권에서 Seize the day[1]로 번역하는데, 둘 다 "오늘을 즐겨라"라는 뜻이다. carpe가 seize, diem이 the day라는 뜻이다. 가끔 의역해서 "오늘 최선을 다하자"라는 식으로 풀이되기도 하지만, 굳이 말하자면 enjoy 쪽에 더 가깝다. 그러니까 뭔가 가치 있는 일을 하라는 의미가 담긴 '노력'보다는 흔히 말하는 "상황을 즐겨라"에 가깝다. 일해야 하는 상황이면 일하고, 쉬어야 하는 상황이면 쉬라는 뜻. 다시 말해 상황에 따라서 의미가 변한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철학
23.02.16
0
0
플라멩코의 3요소와 특징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플라멩코(스페인어: flamenco)는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8 현을 포함)의 전통적인 민요와 향토 무용, 그리고 기타 반주 세 가지가 일체가 되어 형성하는 민족예술로서, 보통 '정열의 나라 스페인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이 지방의 개성적인 민족 감정과 기백이 풍부하고 힘차게 표현된 민족예술이다. 본래는 '콰드로 플라멩코'라 한다.--자료출처:위키백과
학문 /
음악
23.02.16
0
0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대표작이 어떤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크리스토퍼 에드워드 놀란은 영국의 영화 감독, 각본가, 영화 제작자이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을 졸업했다. 《미행》으로 데뷔하여 두 번째 작품 《메멘토》로 크게 성공했다. 이후 작품으로는 《인셉션》, 다크 나이트 3부작 과《인터스텔라》가 있다. -출처:위키백과
학문 /
음악
23.02.16
0
0
종교개혁이 발생한 주요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4세기에 일어난 영국의 위클리프와보히미아의 휘스의 개혁 운동은 실패하였으나, 16세기에 일어난 종교 개혁은 마침내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성립시킴으로써 중세 크리스트 교 세계의 통일을 깨뜨리게 되었다. 그 원인은, 첫째 교황권의 쇠퇴와 교회의 전반적 타락에 있었었다.-출처: 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2.16
0
0
이집트의 역사를 읽어보니 파라오 중에는 여성도 있다고 하는데 최초의 여성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집트 문명이 탄생한 직후인 초기 왕조 1왕조 시대(기원전 3000년경)에도 이미 여성 파라오는 있었다. 바로 ‘네이트 여신의 사랑을 받는 자’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메르네이트(Merneith)였다.
학문 /
역사
23.02.16
0
0
미켈란젤로의 명작 천지창조는 어떻게 그려지게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미켈란젤로가 자존심이 강했던 것으로 알려진 것도 출신 배경 때문이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의 작품 속에 '부오나로티'라는 자신의 성을 새겨넣은 것도 이런 출신적 자존심 때문이라는 것이다.
학문 /
미술
23.02.16
0
0
맨부커상은 어떠한 상인가요? 그리고 누가 받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맨부커상은 영국에서 출판된 영어 소설을 대상으로 그 해 최고 소설을 가려내는 영국의 문학상으로서, 전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출처: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2.16
0
0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