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일제 강점기의 신간회는 어떤 단체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신간회(新幹會)는 1927년 2월 15일에 사회주의, 민족주의 세력들이 결집해서 창립한 항일단체로, 1931년 5월까지 지속한 한국의 좌우합작 독립운동단체이다. 이 단체는 전국구는 물론 해외지부까지 두고 있는 단체로 회원 수가 3~4만여 명 사이에 이르렀던 대규모 단체였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3
0
0
조선 시대의 집현전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다. 현재 남아 있는 곳은 조선의 경복궁의 수정전 밖에 남아있지 않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조선 후기 설치한 규장각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 역대 국왕의 시문, 친필, 서화, 유교(遺敎) 등을 관리 및 보관하던 곳이다. 최초로 이를 구상했던 사람은 7대 왕인 세조로, 1464년에 양성지의 건의로 처음 설치하였으나 세조가 사망한 후 곧 폐지하였고, 훗날 정조 때 다시 부활하였다. 세조 때는 어제존각지소(御製尊閣之所)라고도 불렸으며, 세조 사후 폐지되어 건물이 황폐화되자 1694년(숙종 20년)에 세조가 친히 쓴 ‘규장각(奎章閣)’이라는 액자를 종정시(宗正寺)의 환장각(煥章閣)에 봉안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세조 때 규장각을 설치한 후 한국사 최초의 왕조 시문집인 열성어제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내각일력에는 규장각의 업무나 문화 사업에 관련된 일을 모두 실려있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3
0
0
조선시대의 경제육전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경제육전(經濟六典)은 1397년 (태조 6년)에 조준이 주관하여 조선경국전을 바탕으로 검상조례사(檢詳條例司)에서 고려 우왕 14년(1388) 이후 당시까지의 10년간에 걸쳐 공포되어 법령으로서 현행되고 있거나 앞으로 준행해야 할 법령을 수집 분류하여 만든 법전이다. 우리 역사상 명백한 최초의 성문통일법전이다. 이는 이 ․ 호 ․ 예 ․ 병 ․ 형 ․ 공의 육전으로 구성된 조선시대 최초의 성문법전이었다는 점에 역사적 의의가 있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3
0
0
노다지라는 말이 우리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노두(露頭)는 광맥이나 암석, 지층, 석탄층 등이 땅거죽에 드러난 부분이라는 의미. 노두에 '地'가 결합되어 광맥이 드러난 지역이라는 의미의 '노두지'가 변형되어 노다지가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과거 돌궐족은 어떤 민족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튀르키예인은 스스로를 '튀르크'라고 부른다. 튀르크는 한자 가차로 쓰면 돌궐이다. 돌궐은 북주 북제 중국을 속국으로 삼고 오래 군림했으며 돌궐과 고구려는 동맹을 맺은 역사가 있다. 또한 고구려는 돌궐의 군사 원조를 많이 받았다. 약 1400년 이후, 한국과 튀르키예는 중국과 소련을 양 끝에서 포위한 제1세계의 군사적 요충지로, 제2차 냉전에 이르러선 다시 러시아와 중국에 맞서는 잠재적인 동맹국 같은 관계로 다시 만났기에 참 특별한 인연이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13
0
0
경남 김해 금관가야는 어떤 나라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금관국(金官國) 또는 가락국(駕洛國), 통칭 금관가야(金官伽倻)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었던 가야 중 하나이다.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 금관국(金官國)이였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3
0
0
조선후기 성리학을 비판한 실학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넓게는 유교에서 공리공론(空理空論)에 기초한 헛된 학문'이라는 뜻의 허학(虛學)과 대립되고 실제의 참된 학문이라는 뜻을 지닌다. 즉 실학이란 용어 자체는 유교 내에서 쓰이는 보편적인 단어였다.좁게는 조선 후기에 성리학을 보완하여 경세치용과 이용후생, 실사구시의 태도를 강조한 학문이라는 뜻이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철학
23.02.13
0
0
러다이트 운동이 발생하게된 시대적 배경은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노동자들의 삶의 질은 점점 악화되고 있었고, 생산성은 급격하게 올랐지만 부의 재분배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빈부격차는 급속도로 벌어졌기에 공장의 기계를 부수거나불태우면서 러다이트 운동으로이어지게 되었다.
학문 /
역사
23.02.13
0
0
조선시대 이시애의 난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이시애의 난(李施愛ㅡ亂)은 1467년(세조 13년) 5월부터 8월까지 함경도 길주의 호족 이시애 등이 세조의 집권 정책에 반대해 일으킨 반란이다. 당시 이시애는 길주 출신의 호족 토반으로 1458년 경흥진병마절제사, 1461년 행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1463년 회령부사로 있다가 어머니의 상을 당해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다.--자료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13
0
0
829
830
831
832
833
834
835
836
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