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입춘대길,건양다경 이거 집앞에 적어놓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입춘대길·건양대경을 대문에 함께 붙이는데 그 뜻은 '입춘을 맞이해 길운을 뜻하고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따스한 기운이 감도니 경사스러운 일이 많을 것'이라는 뜻입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역사에 기록된 최초의 해적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대 이집트 나일강 하구에서 징세관이 탄 배를 습격한 이들이 기록에 남은 가장 오래된 해적. 이들의 역사는 고대의 해양민족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볼 수 있는데 이 해양민족들은 이집트를 습격하고 크레타 문명과 미케네를 박살냈으며 히타이트까지 멸망시켜버리는 기염을 토하는 등 고대세계의 문명들의 흥망을 좌지우지 하였고, 결국 청동기 문명의 몰락을 불러일으켰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04
0
0
탄산음료 환타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환타는 코카 콜라에서 발매된 과일맛 탄산음료의 총칭으로,독일에서 개발했으며 1940년에 출시되었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중동 국가에서는 더운데 왜 두건 같은것을 쓰죠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중동에서 사막의 자외선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도 있으며, 중동 여성들이 쓰던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의상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종교 시설에서는 머리카락을 가려 남성들의 시선이 예배 이외에 다른 쪽으로 가지 못하게 하려는 이유도 있다. 머리만 감싼다는 점에서 전신을 감싸는 차도르, 부르카와는 다르다. 얼굴을 가리지 않으니 안면 베일인 니캅과도 약간 다르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04
0
0
중세 유럽은 기독교의 교황이 절대적인 권력자였다는데?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교황에게는 본래 세속적 권력이 없었지만, 중세기에는 세속의 통치자들이 가진 권력과 같이 광범위한 권력을 가진 때도 있었다. 최근 세기에 들면서 교황은 점차 세속 권력이 약해지면서, 오늘날 교황의 권위는 다시 본연의 임무인 종교적 문제들에 국한되어 있다. 수세기가 넘도록 교황의 종교적 권한에 대한 주장은 19세기 제1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신앙이나 도덕에 관하여 엄중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교황 무류성 선언으로 최고조에 달했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2.04
0
0
아바타는 어디에서 유래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Avatar》Avatara라고도 부르며 하늘에서 내려온 자, 즉 화신(化身)이라는 뜻의 산스크리트어이다. 본래의 의미는 .종교적인 용어로 지상에 내려온 신, 특히 힌두교 신들의 분신을 뜻한다.그 외에도 '뭔가가 구체화됨'을 뜻하기도 한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미술
23.02.04
0
0
태극기를 어떻게 대한민국의 국기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1882년(고종 19년) 조미수호통상조약에서 최초로 사용되었으며, 1883년 3월 6일(음력 1월 27일) 조선의 정식 국기로 제안되어 고종에 의해 공포되었다. 대한제국이 1910년 경술국치로 국권을 상실한 이후 일제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1919년 3.1 운동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의해 국기로서의 정통성이 계승되었고 광복 이전까지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기능하였다.--자료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2.04
0
0
조선 후기 오가작통법은 어떤 제도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오가작통법》은5가구를 1통으로 편성, 통내 가호에 연대 책임을 부과하여 거주지 이탈, 절도 등을 방지하고 아울러 세금 수취의 편의를 꾀한 행정 제도.-출처: 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2.04
0
0
황세와 여의낭자에 관한 전설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김해의 회현동에는 봉황대 여의낭자 설화가 전해내려온다. 뱃속에서부터 정혼한 사이였던 여의낭자와 황세는 어린 시절에 남장한 채 만나 동무가 되었다가 진실이 밝혀져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하지만 황세가 전쟁에 나가 수훈을 세우고 장군이 되자 왕은 자신의 딸 유민공주와 결혼시켜 버린다. 여의는 나비가 되고, 황세는 상사병으로 죽고, 유민은 산으로 들어간다. 이들의 비극적인 사랑이야기는 황세바위, 여의고개, 유민산이라는 지명을 남겼다.
학문 /
역사
23.02.04
0
0
서울이 과거부터 수도로 많이 정해진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서울을 수도로 정한 이유는 풍수지리설에 따라 지덕이 왕성해 국운이 번창할 것이라는 점과 이곳을 기반으로 왕건의 세력이 형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신라시대의 경주가 국가의 동남쪽에 치우쳐 있는 폐단을 시정, 국토의 중앙으로 수도를옮겨 전국토를 재개발한다는 의미 등을 담고 있었다. -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2.04
0
0
856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