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직업군에서 그린칼라군의 구체적인 직종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그린칼라의 대표적 직종으로 유기농산물을 수확하는 농부,환경공학기술자,환경직 공무원,환경미화원,신재생에너지 전문가나 신재생에너지 개발 기업 소속 연구원 등이 바로 여기에 속한다.
학문 /
미술
23.09.10
0
0
조선시대 어사화에는 어떤꽃들이 사용되었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처음 살구꽃 핀 정원에서 장원급제 축하 잔치를 열고 살구꽃을 어사화로 내려 보낸 이유는 과거시험 발표가 살구꽃과 앵두꽃이 만발할 무렵인 이른 봄에 열렸기 때문이다. 사방에 살구꽃이 만발했기에 살구꽃을 꺾어 어사화로 삼았던 것인데, 이후에는 과거보는 시기가 일정치 않아 언제부터인가 살구꽃 대신 다른 꽃으로, 그리고 꽃 대신 종이로 꽃모양의 종이꽃을 만들어 어사화로 삼게 되었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몽골군사들은 옛날 유럽에 왜 공포의 대상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몽골군들이 지나간 곳은 모두 초토화시켰습니다. 몽골군에 저항한 세력은 모두 무참히 죽였고, 죄없는 양민들도 수없이 죽였습니다. 또한 수많은 도시를 불에 태워버렸기에 모두 두려워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지역마다 제사상음식이 조금씩 다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사상에 오르는 음식이 다른것은 아마도'신토불이'와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이렇게 각 지역에서 뿌리내리며 살아온 선조들은 자연스레 그 지역에서 나는 음식을 제사상에 올리게 됐었기 때문에 지역마다 제사 음식이 달라지게 된것이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조선태종때 하륜과 정도전의 관계는 어떠하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하륜은 1392년 이성계의 조선 건국에 참여했다. 정도전과 함께 한양 천도를 적극 주장했고, 1393년 정도전이 쓴 표전문이 불손하다는 이유로 홍무제가 문책하자 명나라에 가서 사태를 해결하였다.
학문 /
역사
23.09.10
0
0
신호기를 제일 먼저 설치 사용한 국가는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철도에서 사용하는 신호기의 시초는 1825년 영국에서 시작되었고, 말을 타고 가는 기마수는 기차가 출발하기 전 앞서서 출발하여 선로의 상태를 확인하고 안전하다고 생각되면 녹색깃발을, 선로 앞에 위험요소가 있을 때는 붉은색 깃발을 들어 표시했다고 한다.
학문 /
미술
23.09.10
0
0
인도인의 인중 가운데 붉은 점을 왜 찍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인도인에게 미간은 힌두교의 전통에서 생명의 기운(차크라)가 모이는 곳이라고 한다.점을 칠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실제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을 보는 ‘제3의 눈’을 가진다. 빈디를 찍는 이들에게 제3의 눈은 에너지를 보관하여 집중력을 향상하고 갑작스러운 불행으로부터 지켜준다고 전해진다.
학문 /
미술
23.09.10
0
0
루돌프는 어떻게해서 크리스마스의 대표 캐릭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39년 미국 작가 로버트 메이(1905~1976)가 어린이를 위한 책을 써 달라는 백화점의 주문을 받고 고심하던 메이는 안개 낀 시카고 거리를 걷다가 빨간 코로 안개를 밝히는 캐릭터를 번개처럼 떠올라 루돌프, '빨간 코 순록’이란 책의 주인공으로 태어났습니다.
학문 /
역사
23.09.09
0
0
조선시대 법전 속대전과 경국대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속대전은 기존의 경국대전을 완전히 대체한 것이 아니라 경국대전을 보충하는 형태로 사용되었다. 즉, 두 개의 통일 법전을 상황에 맞게 번갈아가며 사용했다. 기존 경국대전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관형주의(寬刑主義)이다
학문 /
역사
23.09.09
0
0
90년대 일본의 부동산 버블 붕괴의 원인, 역사적 사실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의 부동산 가격하락은 1991년 가을부터 2005년까지 한 해도 빠짐없이 15년간 계속되었으며,버블기인 1980년대 후반에 걸쳐 실물경제에 누적된 과잉투자 및 과잉고용, 그리고 금융권에 발생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10년 가까이 끌었던 정부의 미온적 대응으로 부실채권이 조기에 해소되지 못했던 점 등 세 가지 요인이 버블 붕괴보다 오히려 더 중요한 원인이었음.
학문 /
역사
23.09.09
0
0
289
290
291
292
293
294
295
296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