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말죽거리는 어떠한 뜻을 가진 지명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재역 근처의 마을이 '역말'로, 한자로는 '역촌(驛村)'이라고 했습니다. 이 마을에선 말에게 죽을 먹이는 집이 많아서 길손들은 이 곳을 주로 '말죽거리'라고 불렀습니다. 즉, '말죽거리'라는 지명은 말 그대로 '말에게 죽을 먹이는 거리'라 해서 나온 것입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흥성대원군이 세도가문을 축출한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권세를 누리던 안동 김씨를 비롯한 세도 가문을 약화시키고 다양한 정치 세력을 등용하였다. 또한 오랫동안조선의 최고 의결 기구로 군림하였던 비변사 역할을 외교·국방·치안 부문으로 대폭 축소하고, 의정부의 기능을 회복시켰으며, "대전회통"을 편찬하여 통치 규범을 재정비함으로써 정치를 안정시키고자 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우리나라에 사탕은 언제부터 보급되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탕이 지칭하는 범주가 꽤 넓어서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1940년대생 이전에는 양갱, 엿, 초콜릿, 유과, 젤리, 캐러멜 등 모든 간식거리를 망라해 밥도 반찬도 아닌 달달한 군것질거리는, 특히 양과자류는 싹 다 사탕이라고 불렀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소비량을 자랑하는 사탕은 메이커에 관계없이 생산되고 20대 이상의 전연령층이 즐기는 박하사탕이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조선시대 양반도 농사일을 하긴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양반은 과거를 통해 관리가 되어 나랏일에 참여하였으며, 관리가 되지 않은 양반은 글공부를 주로 하였고, 자기 땅의 농사는 노비와 소작농에게 맡겼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조선시대 기술교육기관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시대의 기술 교육은 주로 중인들이 담당했는데, 해당 관청에서교육을 했습니다. 의학은 전의감, 천문·지리는 관상감,외국어는 사역원에서 담당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역사적으로 의사들의 복장은 왜 하얀색인걸까요? 어떤 역사적 유래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의사들이 입는 흰색 가운은 깨끗함을 상징하고, 오염 물질이 묻으면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세탁을 자주 했어야만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흰색 가운은 세균 전파를 막아 주는 역할까지 하기때문입니다.의사가 흰색의 가운을 입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부터이며, 사제들이 입었던 옷이 검은색이었기 때문에 의사들은 죽음을 상징하는 검은색과 반대되는 흰색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중앙아시아의 티무르 제국은 몽골계 국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티무르 베그 구르카니 (1336년 4월 9일 ~ 1405년 2월 18일)는 중앙아시아의 튀르크몽골인군사 지도자이며, 티무르 제국의 창시자 (재위: 1370년 ~ 1405년)입니다. 그의 이름은 본래 투르크·몽골어계 인명인 테무르이나, 그것의 페르시아어형인 티무르라는 표기로 더 많이 쓰입니다. 유럽권에서는 태멀레인 또는 타메를란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학문 /
역사
23.06.30
0
0
물산장려운동이라는 정확하게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물산 장려 운동은 1920년대 초부터 1930년대 말까지 전국적으로 전개된 경제 자립운동입니다. 민족의 단결된 힘으로 근대 기업을 일으켜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우리 민족의 경제권을 수호하려는 노력으로 시작된 일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9
0
0
소련이 붕괴되면서 몇개의 나라로 분할됬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소련의 붕괴로 1922년,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남코카서스 공화국으로 시작하여1924년에 이 4개 구성 공화국에 우즈베크, 카자흐, 투르크멘 공화국이 합쳐졌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9
0
0
단군신화는 어디에 기록되어 지금까지 전래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단군신화의 기록은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지하고 있지만, 이승휴(李承休)의 ≪제왕운기 帝王韻紀≫에서는 ≪삼국유사≫의 웅녀가 사라지고 그 대신 환웅의 손녀가 등장하여 단수신(檀樹神)과 혼인하여 낳은단군이 왕이 되었다고 ≪제왕운기≫는기록하는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9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