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계모가 전처 자식을 괴롭히는 것을 소재로 한 설화가 전해지는데, 서양에는 어떤 설화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65년 그림형제가 유럽지역에서수집한 구전설화로 백설공주,신데렐라, 라푼젤, 헨제과 그레텔,여섯마리 백조, 등 여러편이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일제 시대에 주유소는 실제로 어떤 시설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대륙침략의 발판기지로한반도를 병참기지로 삼기위해1935년 조선석유회사를 세우게되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고려의 성종 업적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성종은 태어난 지 두 달만에 아버지 덕종이 죽자 세조가 궁에서 키웠는데천성이 뛰어나고 도량이 넓었으며학문을 좋아하여 게을리하지 아니하였고사예와 서화에도 능하였습니다. 임금이 되예우는 신하들을 예우하였고형벌을 명확하게 부분하고 신중하게 처리하였습니다.<경국대전> <동국통감>을 완성하였으며서거정의 <동문선> <악학궤범>과 같은많은 책을 편찬하는 등 문화발전에 이바지하였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조선 시대, 책의 가격은 어느 정도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성종 때 나온 '대전속록'의 가치로 면포 한 필을 쌀 7두(斗)였으며,면포 3~4필은 쌀 21~28말 가격에 해당했습니다. 논 1마지기에서 1년에 대략 쌀 한 섬(10두)이 생산되는정도이니 책 한 권 사려면 논 2~3마지기의 1년 생산량을 치러야 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세계에 외세 침입을 받지 않은 나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외세의 침략을 거의 안받은 나라는 태국입니다. 16·18세기 중엽에 일시적으로 버마의 침략을 받은 젓을 제외하고는 외세의 침략을 거의 받지 않은 나라 입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편의점, 마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즉석식품 햇반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햇반은 1996년 말에 출시되자마자 엄청난 판매실적을 올린 CJ의 효자상품입니다. 지금은 햇반의 경쟁 상품이 여럿 나와 있지만, 초창기 한국 시장에 이런 형태의 무균 즉석 밥은 햇반이 최초였으며 꽤 오랜 기간 동안 경쟁 상품이 없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6.25 당시 가평전투라고 있었다는데 어떤 전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가평전투는 6.25전쟁 당시영연방 제27여단이 1951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가평일대에서 중공군 제118사단의 공격을 방어한 전투를말합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우리나라 전통놀이 중 비석치기의 유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비석치기의 비석에는 두 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날 비(飛)에 돌 석(石), 즉 돌을 날려치는 놀이라는 뜻이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무덤이나 기념을 하기 위한 비석, 돌기둥 비(碑)에 돌 석(石), 즉 비석을 친다는 뜻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청나라에서 일어났던 태평천국운동은 무슨 운동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태평 천국에서는 크리스트 교의 가르침과 중국 고유의 사상을 조화한 여러 가지 혁신적인 정책이 시행되었습니다. 토지를 농민들에게 공평히 분배할 것을 내세우고, 남녀 평등을 주장하며, 노예 매매와 축첩을 금지시켰을 뿐 아니라, 아편도 엄금하였습니다. 그리고, 청조를 반대하는 상징으로 만주족의 변발을 금지시키고, 중국 고유의 장발을 권장하였습니다.태평 천국의 난을 장발적의 난이라고 하는 연유가 여기에 있습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6.27
0
0
우리나라의 유교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교는 중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여러 나라로 전해졌으며 삼국시대 이전우리나라에 대하여는 문헌 부족으로 자세히 알 수 없으나 한자와 더불어 전래되었다고 추정되며, 삼국시대 때, 당(唐)나라의 학제인 '국학'(國學)을 받아들인 때를 그 기원으로 삼는다.
학문 /
역사
23.06.27
0
0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