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신라시대 인도사람이랑 결혼한사람?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허황후', '허왕후'라고도 불리며 한국의 성씨 중 하나인 허씨의 시조이다. 《삼국사기》에는 기록이 나오지 않으며 《삼국유사》 가락국기에서만 등장하는 인물로 《삼국유사》에서는 고향이 인도 아유타야라고 기록했다. 금관국의 수로왕과 혼인해 아들 10명을 두었는데 2명에게 허씨 성을 주어 허씨 성이 뿌리내리게 되었다. 첫 두 아들은 김해 허씨가 되었고 여기서 더 갈라져 나머지 본관들이 생긴 식. 허씨 성을 물려받은 두 아들과 태자 거등왕을 제외한 아들 7명은 모두 승려가 되었다고 한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1
0
0
을지문덕은 어떤사람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을지문덕은 고구려 영양왕 때의 장군이다. 수나라의 제2차 침입을 물리친 장수로 유명하다. 612년 수 양제가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했는데 요동성에서 지지부진하자 별동대 30만 5천 명을 뽑아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을 직공하였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1
0
0
고추가라고 하는 명칭은 뭘 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추가는 고구려 때 왕족에 대한 칭호로, 왕족인 계루부에서는 각가의 적통 장자를 가리켰다. 옛 왕족인 소노부 및 왕비족인 절노부에서는 적통대인을 일컬었다. 이는 신라의 갈문왕에 해당한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미술
23.06.01
0
0
우제점법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3세기 후반에 저작된 중국의 역사책인 『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東夷傳) 부여조에는 “전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하늘에 제사지내고, 그 길흉을 판단하는 방식으로 소를 죽여서 굽의 모양을 보아 합하는 것을 길하다고 여겼고, 벌어지는 것은 흉한 것으로 여겼다.”고 되어 있다.그런데 장초금(張楚金)이 지은 『한원(翰苑)』 권30 고려(高麗 : 여기에서는 고구려를 가리킴.)조에 인용된 『위략(魏略)』에 의하면 고구려에도 이와 같은 관습이 있었다고 하며, 한편 경상남도 창원시 웅천패총(熊川貝塚)에서 6점의 복골(卜骨)이 나온 것으로 미루어볼 때 삼한사회에서도 역시 이와 같은 관습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가 있다.본디 점치는 방법은 민족에 따라서 각기 조금씩 그 방법을 달리하고 있으나, 동물의 희생을 이용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동물의 갑골(甲骨)을 작렬하여 길흉을 판단하는 방식과 그 내장의 변화를 가지고 판단하는 방식의 두가지가 있는데, 부여의 우제점법은 중국고대 은나라의 갑골점법과 마찬가지로 앞의 경우에 속하는 것이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6.01
0
0
6.10민주항쟁의 날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4·13 호헌 조치[1]와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그리고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 등이 도화선이 되어 6월 10일 이후 전국적인 시위가 발생하였고, 이에 6월 29일 노태우의 수습안 발표로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이루어졌다. 이후 1987년 12월 16일 새 헌법에 따른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6월 항쟁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 운동이 비약적으로 상승하는 효과를 가져왔다이 항쟁은 한국 도심의 중심 경복궁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최루탄이 터지며 시작이 되었음을 알려주었다. 이한열을 비롯한 학생들이 최루탄을 맞거나 박종철 열사와 같게 고문으로 죽게 되는 학생들도 몇 있었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1
0
0
대승기신론소는 무슨 책,사료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승기신론』은 대승불교의 교리를 논한 개론서라고 할 수 있는데, 저자는 인도의 마명(馬鳴, 100∼160)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중국에서 성립되었다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 『대승기신론』은 성립 이후 동아시아의 불교학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는데, 190종 이상의 주석서가 간행되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이 원효의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보통 해동소(海東疏)라고 함), 당나라 법장(法藏, 643∼712)의 『기신론의기(起信論義記)』, 수나라 혜원(慧遠, 523∼592)의 『기신론의소(起信論義疏)』이다. 이를 삼대소(三大疏)라고 부른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6.01
0
0
안토니 가우디가 영향을 받았다는 카탈루냐 전설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카탈루냐인으로 카탈루냐어를 사용하고 스페인의 주 민족이자 같은 라틴 계열 민족인 카스티야인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카스티야와 구별된다는 카탈루냐인의 인식은 카스티야에 대한 대항 의식과 카탈루냐 독립운동의 주된 근거기도 하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1
0
0
고려 무신집권기에 지눌의 '권수정혜결사문'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혜결사문(定慧結社文)》은 고려의 승려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이 송광사(松廣寺)에서 수선사(修禪社)를 결성할 때 그 취지를 적은 글이다.이 글에 의하면 지눌은 고려 명종 12년에 서울 보제사(普濟寺)의 담선법회(談禪法會)에서, 같이 수행하던 10여인과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위한 결사(結社)를 거론하였다가 실패하였고, 동왕 18년(1188)에 다시 정혜사(定慧社)를 발기하여 2년 뒤에 뜻을 이루었다고 한다.이 글에서 지눌은 정(定)과 혜(慧)를 함께 닦는 것이 어째서 불도의 요체인가를 밝혀 자기의 소신을 명백히 하였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철학
23.06.01
0
0
2.8독립선언은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재일 유학생들은 1918년 미국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주창한 민족자결주의의 원칙을 우리 나라에도 적용하여 줄 것을 요구했다. 당시 와세다대학 철학과에 재학 중이던 이광수는 서울에서 현상윤, 최린과 독립 운동을 논의했고, 그 해 11월 도쿄도로 돌아와 와세다 대학에 유학하고 있던 최팔용과 조선인 유학생들을 규합하여 독립 선언을 기획하게 된다. 이광수는 2.8 독립 선언서를 한국어와 영어 두 가지로 작성했고, 최팔용은 이광수의 신변을 우려하여 도피할 것을 제안했다. 이광수는 선언문 작성 후 상하이시로 도피한다.2월 8일 당일 오전에는 각국 대사관과 일본 국회 의원, 조선총독부, 일본 여러 지역의 신문사에도 독립 선언문을 발송했다. 이날 오후 2시, 재일본 동경 조선 YMCA 강당에는 조선 유학생 학우회 총회가 예정되어 있었다. 회의가 개최되고 나서 최팔용에 의해 "조선 청년 독립단"을 결성하려는 '긴급 동의'가 요청되었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6.01
0
0
통일신라 문화가 일본의 하쿠호 문화에 끼친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삼국 문화에 뒤이어 통일 신라의 문화도 일본에 전해졌다. 일본에 전해진 신라의 정치 제도는 다이카 개신 이후의 강력한 전제 왕권의 확립에 기여하였다.또, 통일 전쟁에서 보여 준 신라인의 강렬한 국가 의식은 일본 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통일 신라 문화의 일본 전파는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파견해 옴으로써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 일본에 전해진 원효, 강수, 설총 등의 불교, 유교 문화는 일본 하쿠호 문화의 성립에 이바지하였다. 특히, 심상에 의해 전해진 의상의 화엄 사상은 일본 화엄종을 크게 일으키기도 하였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6.01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