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옥갑이라는게 고대사회에서 뭐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옥갑(沃甲)은 상나라의 16대 군주이다. 태어날 때의 이름은 자유(子逾)이다.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형인 조신에 이어 상나라의 15대 군주가 되었다. 임인(壬寅)년에 즉위하였고 비(庇)를 수도로 삼았다. 재위 25년(죽서기년에는 20년)만에 사망하였다. 옥갑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조카인 조정이 뒤를 이었다.은허에서 발굴된 갑골문에 따르면 상나라의 14대 군주였고 강갑(羌甲)이라는 시호를 받았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1
0
0
대한민국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마리아 - 신념의 여성2.8 독립선언서를 국내에 몰래 반입하고 독립선언의 소식을 전파한당사자이다. 박차정 - 근우회의 투사, 조선 의용대 전사흔히 김원봉의 아내로 알려진 박차정 또한 병보석 중에 감시를 피해 망명을 감행한 투사다.권애라 - 꺾이지 않는 여성 투사개성 3.1 운동의주도자이다.-출처:국립중앙도서관
학문 /
역사
23.06.01
0
0
역사서 한서라는 책은 어떤 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서》는 반고가 편찬한 전한의 역사를 서술한 역사서로, 중국 이십사사에 포함된다. 《전한서》라고도 한다. 다루는 시대는 한 고조 유방이 전한을 창건한 기원전 206년부터 왕망의 신나라가 망한 24년까지이다. 총 100편 12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1
0
0
장례에 검은색 의복을 입은 것은 언제부터 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861년에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이 남편 장례식에 검은색 차림으로 등장한 이후 사람들도 검은색 상복을 입기 시작했습니다.죽은 사람을 멀리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죠. 검은 옷을 입고 있으면 죽은 사람의 영혼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해 쫓아오지 않는다고 믿었거든요. 그래서 시커먼 베일로 얼굴을 가리기까지 했습니다.-출처:어린이조선일보
학문 /
역사
23.06.01
0
0
일본과 운전석 방향이 다른 역사적 배경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운전석 위치는 통행 방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요, 일본이 19세기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좌측통행을 하는 영국 시스템을 따라갔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영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운전석이 오른쪽에 있습니다.-출처:한겨레
학문 /
역사
23.06.01
0
0
광동 체제라는 것이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광동 체제는 건륭제가 광동성 광주에 공행을 허용한 청(淸) 건륭 22년에서 남경조약이 체결된 도광 22년 사이, 청나라와 서구권 국가 사이에 존재했던 무역 관리 체제이다.-출처: 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6.01
0
0
한국 역사상 전등은 언제 처음 가설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 점등일은 1887년 1~3월경으로 추정되며, 건청궁 내 장안당(長安堂)과 곤녕합(坤寧閤)의 대청과 앞뜰, 향원정 주변의 등을 밝혔다. 당시 향원지에서 물을 끌어올려 전기를 생산하여 ‘물불’이라 불렸으며, 불안정한 발전 시스템 탓에 건달꾼처럼 제멋대로 켜졌다 꺼졌다 한다 하여 ‘건달불’이라 불렸다고도 한다.-출처:문화재청
학문 /
역사
23.05.31
0
0
예전에 많이 하고 놀던 공기놀이 유래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공기놀이의 유래는 명확하지 않으나 오래전부터 연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19세기 초 이규경(李圭景)이 기록한 『오주 연문 장전 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라는 책에도 '조약돌을 가지고 하는 아이들의 놀이를 공기라고 하는데, 조약돌을 공중에 던져 받는다'고 기록되어 있다.-출처:세계한민족문화대전
학문 /
역사
23.05.31
0
0
5월은 가정의달이라고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외국도 우리나라처럼 5월이 가정을 의미하는 달인 경우가 있습니다.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지만 '세계 가정의 날'이기도 한데요. 1993년 UN이 가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모든 사회 구성원이 건강한 가정을 위해 적극 참여하자는 취지로 제정했습니다.-출처:쿠키뉴스
학문 /
역사
23.05.31
0
0
제행무상이라는 말이 무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행무상:제행이란 생멸변화하는 일체의 형상법을 가리키며, 유위(有爲)와 같은 뜻이다. 모든 현상은 잠시도 정지하지 않고 생멸변화하므로 제행무상이라 한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31
0
0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