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23.06.01

장례에 검은색 의복을 입은 것은 언제부터 였나요?

과거 우리 조상들의 장례모습을 보면 삼베옷을 입었던거 같은데

언제부터 검은 정장에 완장을 한 지금의 형태의 장례문화가 생겨나게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 복식이 들어오면서 장례식에서 검은색 계열의 어두운 옷을 입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 이전에는 우리 전통 상복을 입었죠.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옛날에는 상복을 입었지만 서양의 영향으로 검정색옷으로 문화가 바꼈습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무채색의 다운된색의 검정색은 영혼을 위로한다하기도하고, 영혼들이 산사람에게 달라붙게하지 않기 위해 숨기기위해 드러내지않는 색인 검정색을 입었다고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61년에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이 남편 장례식에 검은색 차림으로 등장한 이후 사람들도 검은색 상복을 입기 시작했습니다.

    죽은 사람을 멀리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죠. 검은 옷을 입고 있으면 죽은 사람의 영혼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해 쫓아오지 않는다고 믿었거든요. 그래서 시커먼 베일로 얼굴을 가리기까지 했습니다.

    -출처:어린이조선일보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민족은 장례식때 삼배옷을 입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어느순간 문화가 바뀌었습니다

    장례식장에서 검은 옷을 입는 것은 19세기 중반에 대중화됐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현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과거 우리 조상들의 장례 문화는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는데요.

    아주 예전 고조선 시대에는 산장이나 묘에 묻는 장례문화가 대부분이었고, 고려 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을 하거나 유교의 영향으로 무덤을 만들어 묻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유교의 영향이 강력하여 화장이 전면적으로 금지되었고 묘지에 묻는 형식으로 전통이 이어졌고, 이때부터는 삼베옷을 입히고 머리에 비노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이후 일본식민지 시대를 거쳐 근대에 들어서면서 서구 문화의 영향으로 장례절차가 간소화되고 현대화 되게 되면서 검은 정장과 완장을 입는 것으로 정착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