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조선시대 후기에는 탐관오리들이 정말 그렇게 많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후기의 사회적 변화를 겪으면서 농민들의 생각이나 행동도 많이 달라졌다. 이제 농민들은 양반 지주나 탐관오리(욕심 많고 부패한 관리)들의 수탈에 더 이상 견딜 수 없었다. 농민들은 정부에 대한 세금이나 양반 지주에 대한 소작료를 내지 않거나 줄여 내기도 하였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7
0
0
조선시대에서는 군대에서 별도의 전술훈련을 하지 않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왕은 해마다 농한기인 봄과 초겨울에 전국에서 군사들을 동원하여 직접 군사 훈련을 실시하였는데, 이 훈련이 대열과 강무이다.대열은 전국에서 징발한 군사들을 대상으로 전투 대형인 진법 훈련을 실시하고, 여기에 국왕이 친히 나가 사열하는 것이다. 일명 친열(親閱)이라고도 하는데, 1432년(세종 3)에 처음 시행되었고, 이후 1451년(문종 원년)에 진법으로 확정되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7
0
0
옛날에 처가집이 멀수록 좋다고 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처갓집이 멀수록 좋다는 이야기는 남정네가 처갓집 신세를 지지 않으려는 또는 염려스러운 문제가 생겼을 때 처가에 까지 쉽게 알려지지 않게 하기 위한 어찌 보면 남성들 입장에서 생각할 수 있는 속담이 아닐까 하는 의미도 있다.-출처:화성신문
학문 /
역사
23.05.27
0
0
야매는 어디서 나온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음으로만 보면 분명히 '야메' 가 아니라 '야미' 에 해당되며 '야' 발음에서 '미' 발음보다 높낮이가 올라 가는 발음(또는 강세/액센트가 앞 쪽에 있음)입니다. 한자로는 暗(어두울 암) 또는 闇(숨을 암, 어두울 암) 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일본어 사전에 보면 [어둠, 사려/분별이 없는 상태, 암거래(품)] 이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또 네이버 어학사전에는 'Yami(闇): 뒷거래(=남의 눈을 피하여 뒤에서 하는 정당하지 않은 거래)의 잘못 표기라고 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굳이 쓰지 않아도 되는 외래어 정도로 치부하면 되겠습니다.-출처:우리말바로알기
학문 /
미술
23.05.27
0
0
남한산성은 언제부터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옛 중부면) 산성리에 있는 남한산의 산성이다. 광주시에 거의 전부가 있지만, 성남시와 하남시에도 영역을 뻗으므로 3개 지자체에 걸친 성곽이다. 성남 쪽에서 들어가는 게 접근성이 좋기에 남한산성의 극히 일부만 걸친 성남시에서도 남한산성을 많이 홍보하곤 한다.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으며, 경기도에서 도립공원으로 관리한다.삼국시대부터 있었고 조선 인조 때 손을 보았는데, 해발 497m인 청량산(淸凉山)을 서쪽 끝으로, 해발 514m 벌 봉을 동쪽 끝으로 하여 긴 장방형 돌로 쌓았다. 서쪽은 경사가 가파르고 높아서 험난하며, 다른 쪽은 능선이 긴 반면, 성안은 낮고 평평한 분지 형상이다. 북한산성과 함께 한양을 지키는 2대 산성이었다.-출처 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7
0
0
히틀러가 일으킨 홀로코스트의 배경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1년부터 1945년까지 아돌프 히틀러가 이끈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이 나치 독일과 독일군 점령지 전반에 걸쳐 계획적으로 유대인과 슬라브족, 집시, 동성애자, 장애인, 정치범 등 약 1천1백만 명의 민간인과 전쟁포로를 학살한 사건이다.사망자 중 유대인은 약 6백만여명으로, 그 당시 유럽에 거주하던 9백만 명의 유대인 중 약 2/3에 해당한다. 유대인 어린이 약 백만 명이 죽었으며 여자 약 2백만 명과 남자 약 3백만 명이 죽은 것으로 파악된다. 유대인과 기타 피해자들은 독일 전역과 독일 점령지의 약 4만여개의 시설에 집단 수용과 구금되어 사망하게 되었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철학
23.05.27
0
0
미국 지페인물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미국 화폐는 지폐 7종과 주화 6종이 있다. 지폐 앞면 인물을 살펴보면 100달러에는 벤저민 프랭클린, 50달러 율리시스 그랜트 18대 대통령, 20달러 앤드류 잭슨 7대 대통령, 10달러 알렉산더 해밀턴 초대재무장관, 5달러 아브라함 링컨 16대 대통령, 2달러 토머스 제퍼슨 3대 대통령, 1달러에는 조지 워싱턴 초대대통령이 그려져 있다. 주화 1센트에는 아브라함 링컨, 5센트 토마스 제퍼슨, 10센트 프랭클린 루스벨트, 25센트 조지 워싱턴, 50센트 조 케네디, 100센트에는 북아메리카원주민이 새겨져 있다.-출처:부산광역시청
학문 /
역사
23.05.27
0
0
조선시대 원찰의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원찰의 건립은 조선시대까지도 계승되었다. 태조는 계비(繼妃)인 강씨(康氏)가 죽자 1405년 정릉(貞陵)에 장사지내고 그 옆에 흥천사(興天寺)를 세워 원찰로 삼았다. 이를 시작으로 역대의 왕이나 왕비의 능 근처에 대부분 원찰이 건립되었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학문 /
역사
23.05.27
0
0
유럽 국가에 불교가 영향력이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유럽 지역에 300만여명의 불교인이 있으며, 유럽 지역에서의 불교인의 비율은 낮지만(0.4%), 다문화 글로벌 사회의 영향으로 인한 아시아 불교 국가들로부터 온 이민자들의 유입으로 이슬람과 함께 유럽에서 빠르게 신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종교 중 하나이다. 실제로 유럽불교협회 산하 각 국 불교협회들은 이민자 출신의 불교인/단체와도 교류를 맺고 있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철학
23.05.27
0
0
숭유억불 정책은 언제 시행된 제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불교 정책은 억불로 요약된다. 성리학을 기치에 내건 조선 정부와 유학자들은 불교를 이단으로 취급하였고 그 억제만이 정도를 바로 세우는 길이라고 믿었다. 국가 정책상으로도 연산군, 중종에 이르러 공식적 폐불이 단행되었다. -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7
0
0
469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