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회사령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회사령[會社令] 〈회사령〉(會社令) 은 1910년 12월 29일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가 제령(制令) 제13호로 공포한 법령이다. 이 법령에는 회사의 설립, 운영, 해산 등 회사에 관한 전 과정이 규정되었다. 부칙을 포함하여 총 20개 조항으로 구성되었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5
0
0
일제가 명성황후를 시해한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성황후는 러시아의 베베르공사를 자주 불러 국사를 논의하는 등 연대를 강화해나갔고, 이에 소외감을 느낀 일본은 러시아를 우대하는 조선국모 명성황후를 제거할 필요성을 느끼게 됐고, 결국 명성황후 제거계획을 세운다.-출처:티스토리
학문 /
역사
23.05.25
0
0
통일신라 문화의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 때의 문화는 교육, 학문과 예술만이 아니라, 과학 기술에서도 뛰어난 발전을 보였으며, 민간 문화의 수준도 한층 높아졌다. 특히, 불교가 발달하여 원효, 의상 등 고승들이 활약하였고, 화려한 멋과 균형의 미를 갖춘 불국사, 석굴암 등이 만들어졌다.-출처:우리역사넷
학문 /
역사
23.05.25
0
0
콜럼버스보다 더 먼저 아메리카 대륙으로 간 사람들이 있다던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흔히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자로 알려져 있지만, 아메리카는 무주지가 아니었고 원주민 문명이 존재했으므로 '아메리카를 발견했다'는 유럽인 입장에서의 시각일 뿐이다.[2] 또 유럽인 중에서조차 북유럽의 바이킹[3]이 먼저 아메리카에 도달한데다, 아메리카로 인식한 것은 아메리고 베스푸치였기 때문에 실제로는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대륙의 지속적 교류 계기를 만든 유럽인'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5
0
0
중국과 일본의 청일전쟁이 일어나게 된 동아시아의 결정적 사회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임오군란 때부터 민비(명성황후)의 요청으로 일방적으로 조선의 종주를 주장하는 청나라에 대해 일본 제국이 일으킨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전쟁이다. 당시 임오군란 때 민비(명성황후)는 청나라의 보호를 받는 한편, 청나라는 일방적으로 조선을 속방(법적으로 독립국이나 군사적으로 비독립적인 국가)으로 주장하는 조중정장 조약을 민비(명성황후)와 체결하였고 급진개혁파는 조중정장 조약을 반대하며 조선의 독립을 위해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하지만 갑신정변은 실패하였고 이후 청일전쟁이 일어났다. 중국에서는 갑오년에 일어났다고 하여 갑오전쟁, 일본에서는 일청전쟁, 서양에서는 제1차 중일 전쟁(First Sino-Japanese War)이라고도 불린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5
0
0
불교 스님들이 하시는 발우공양의 유래와 의미, 절차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불가의 식사로 스님들이 절에서 하는 식사 의식. 공양[1]의 일종이라고 보아 발우공양(鉢盂供養)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발우공양'이란 발우를 사용하는 공양이란 뜻. 발우를 부르는 다른 이름에 따라 "바리때 공양"이라고도 한다.여기서 발우(鉢盂)란 승려들이 식사할 때 사용하는 그릇을 가리키는데, 동의어로 발다라(鉢多羅)ㆍ바리때ㆍ응량기(應量器), 또는 응기(應器) 등이 있다. 산스크리트어 빠뜨라(Patra)를 한자로 음차하여 발다라(鉢多羅)라 하였는데, 앞글자 '발'에 한자로 그릇을 가리키는 우(盂)를 합쳐 발우란 말이 나왔다. 응량기란 '공양받을 만한 자가 자기 양에 맞춰 받는 도구'란 뜻으로, 발우의 쓰임새를 풀어서 칭하는 단어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미술
23.05.25
0
0
1910년 한일병합조약의 구체적인 전개과정과 시대적 배경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일본에 양도하고 일본의 보호국이 되었고, 정미7조약으로 군대 해산을 당하고, 기유각서로 사법권과 감옥사무까지 잃은 대한제국은 결국 일본 제국에 병합되었고,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었다. 한편 병합조약 직후 황현, 한규설, 이상설 등 일부 지식인과 관료층은 이를 일방적 압력에 의해 이루어진 늑약으로 보고 극렬한 반대의사를 보였고, 한일 병합 직후 14만 명이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출처:위키백과
학문 /
역사
23.05.25
0
0
아기공룡 둘리가 토종캐릭터인데요. 40년 지난 오늘날까지 인기비결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작품이 동시대의 한국 작품과 차별화되는 점이 있다면 표절 논란이 전혀 없다는 점. 동시대의 많은 인기작품들이 일본식 화풍을 따랐거나, 스토리 전개나 기본 컨셉트에서 일본이나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둘리는 그러한 계보에 전혀 얽메이지 않은 독창적인 설정과 작풍을 자랑하기 때문일것이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역사
23.05.25
0
0
용의 발톱의 수에 따라 의미가다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용의 발가락, 다시 말하자면 발톱의 수는 셋이나 넷인 경우도 있고, 아주 드물게 일곱일 경우도 있으나, 대개는 다섯이다. 이를 오조룡(五爪龍)이라고 한다. 용 발톱의 수는 대체로 그 용의 격을 드러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이나 우리나라를 막론하고 대부분 오조룡으로 왕을 상징한다. 발톱이 일곱인 용은 말할 것도 없이 황제를, 그것도 특별히 격을 높여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출처:한국역사연구회
학문 /
미술
23.05.25
0
0
스포츠에서는 왜 슬럼프라는 단어를 쓰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어느 순간 운동•학습•노래 등에서, 훈련이나 연습을 반복해도 효과가 없는 경우를 슬럼프라고 부른다. 요컨대 노력을 해도 성적 부진이 나오거나, 혹은 평소보다 실력이 더 안좋게 느껴지는 경우 그것을 슬럼프라 부를 수 있다.참고로 슬럼프와 고원 현상은 체육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는 현상이다. 슬럼프 현상은 꼼꼼한 재훈련, 폐기학습, 심리치료를 비롯한 여러 수단을 끌어들여야만 한다. 이래도 슬럼프를 이기지 못하고 끝내 몰락하는 프로 스포츠 선수가 매우 많다. 박정진, 이정민 등이 슬럼프를 극복하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 대표적인 선수들이다. 슬럼프는 비단 운동선수 뿐만 아니라 대학수학능력시험, 공무원시험, 변호사시험 등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도 치명적이어서 정말로 일시불로 합격할 수 있을 것을 할부로 더 오래 기약없이 해야 하게 된다.-출처:나무위키
학문 /
음악
23.05.24
0
0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