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미술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불교 스님들이 하시는 발우공양의 유래와 의미, 절차가 궁금합니다.

템플스테이를 통해서 발우공양을 체험하는 시민과 외국인이 많습니다. 불교 스님들이 하시는 발우공양의 유래와 의미, 절차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지속 가능 트렌드로 한국 관광 아이템이 될 듯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발우공양은 사찰에서 발우라는 나무그릇을 사용해 행해지는 식사법입니다.

      2500여년 전 석가모니부처님의 수행에서 비롯되어 전해진 것으로 감사와 정진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발우에 담긴 음식은 맛있는 것만 찾고 배불리 먹기 보다 수행을 할수 있는 몸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있습니다.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후 두명의 우바새로부터 최초의 공양을 받을 때 사천왕이 돌그릇을 각기 하나씩 부처님께 드렸고 부처님은 이 발우 네 개를 포개어 사용했다고 하며 그 후 제자들도 부처님을 따라 네 개의 발우를 써 공양을 하는 전통이 생겼다고 합니다.

      발우는 네개 또는 다섯개로 짝을 이루며 크기가 조금씩 달라 차곡차곡 포개 놓으면 그대로 하나가 되며 4합 발우일 경우 제일 큰 발우는 밥발우, 국발우, 반찬 발우, 천수발우 순서로 이루어집니다.

      제일 큰 발우를 불 발우, 다음을 보살 발우, 성문발우, 연각발우라고도 하며 5합 발우에서 가장 작은 발우는 지옥아귀, 아수라에게 공양하기 위한 발우로 시식 발우라고 하나 자주 쓰이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가의 식사로 스님들이 절에서 하는 식사 의식. 공양[1]의 일종이라고 보아 발우공양(鉢盂供養)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발우공양'이란 발우를 사용하는 공양이란 뜻. 발우를 부르는 다른 이름에 따라 "바리때 공양"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발우(鉢盂)란 승려들이 식사할 때 사용하는 그릇을 가리키는데, 동의어로 발다라(鉢多羅)ㆍ바리때ㆍ응량기(應量器), 또는 응기(應器) 등이 있다. 산스크리트어 빠뜨라(Patra)를 한자로 음차하여 발다라(鉢多羅)라 하였는데, 앞글자 '발'에 한자로 그릇을 가리키는 우(盂)를 합쳐 발우란 말이 나왔다. 응량기란 '공양받을 만한 자가 자기 양에 맞춰 받는 도구'란 뜻으로, 발우의 쓰임새를 풀어서 칭하는 단어이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