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임진왜란 당시 활약했던 의병들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지역을 중심으로 임진왜란 의병 중 가장 먼저 일어난 의병은 경상남도 의령의 곽재우였으며, 합천의 정인홍, 경상북도 고령의 김면, 경상북도 영천에서는 권응수,전라남도에서는 담양의 고경명·김천일 박광옥 고경명, 충청남도 옥천에서는 조헌이 이우·김경백·전승업, 경기도에서는 안성의 홍계남·우성전 등이 활약했고, 황해도에서는 이정암이 부대를 조직한 뒤 강화의 김천일 부대 등과 연합하여 황해도 연안에서 승전하였다. 평안도에서는 승려 휴정, 함경도에서는 정문부가 정형룡·오응태, 그 외에도 전국 각지에서 2만 2,600여 명의 의병이 일어나 일본의 침략을 물리쳤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철이 많았던 가야가 빨리 망하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가야의 힘은 철 생산 능력의 우월성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5세기 이후에는 왜국이 철광산 개발에 성공하고 백제가 왜와 직접 통교하기 시작하면서, 왜에 대한 상대적 우월성이 약해졌기 때문이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행한 화폐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최초의 화폐는본래 중국 당 숙종 때 발행한 화폐를 모방해서 주조한 것으로 보이는, 고려시대 996년성종[건원(乾元)]때에 만든건원중보(乾元中寶)가 최초의 화폐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민속씨름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기록으로 씨름이 나타난 문헌은 <고려사> 입니다. 충숙왕은 국사를 신하들에게 맡기고 매일 아랫사람들과 씨름에 열중했다고 합니다. 왕이 직접 씨름을 즐겼으며, 충혜왕도 씨름에 관심이 깊었습니다. 시가지의 누에 올라 씨름 구경을 했을 뿐만 아니라, 씨름한 용사들에게 상을 내렸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를 보면 고려시대에 씨름은 상류층에서 애호한 구경거리였으며, 물론 서민들도 씨름을 즐겼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백제는 신라에 멸망하였는데 주요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백제가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과의 전쟁에서 패한것은 백제 의자왕의사치와 향락, 내부 내란에 의한 쇠퇴로 김유신과 소정방의군대에게 패한 원인입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해적 표시를 왜 해골로 표시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해적들은 “쓸데없이 저항하지 말고 항복하라”는 의미에서 전달하는 이미지가 분명한 도안들을 깃발에 도입하여, 해골과 교차시킨 뼈로 구성된 유명한 해적선 깃발은 바로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고 합니다.이와 함께 칼은 맹렬한 싸움,모래시계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뜻이었으며, 해적 블랙비어드의 깃발에는 창과 그 옆에 피흘리는 심장,그리고 모래시계를 쥔 해골이 그려져 있는것은 이는 “저항하면 죽는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학문 /
미술
23.01.23
0
0
조선시대 여성들의 직업은 뭐가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여성의 직업은제한적이었는데 직업으로는삯바느질,수모,염모,방직기,매분구,야채장수,잠녀 등이있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임금님 '수라상' 의 어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고려 말과 조선시대의 궁중 음식에서 왕에게 올리던 밥상을 높여 부르는 말인 수라상(水喇床)의'수라'라는 말은 고려 원종 때 전해진 몽골어로, 음식을 뜻하는 '슐라'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죽부인의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죽부인은 중국으로부터 전래가 되었는데, 중국 당대에는 죽협슬(竹夾膝)이라고 했다가, 송대(宋代)에 와서 죽부인이라고 불렀다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종이학은 어떻게 유래됐나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히로시마 원폭의 피해자로12살에 요절한 사사키 사다코가투병중에 접은 천마리의 학이평화를 상징한데서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
역사
23.01.23
0
0
892
893
894
895
896
897
898
899
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