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공포와 탐욕 지수라는게 있던데요, 투자시에 유용한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공포와 탐욕 지수는 일반적인 상황일 때 사람의 심리상태를 말하는데 단타에 기술적반등으로 써먹을까 사실상 투자시 유용하진 않습니다.증시가 공포와 탐욕지수에 움직이지 않기 때문입니다.투자는 현재 경제상황, 내가 투자 하려고 하는 회사의 비전,상태 등을 보고 하는 것이지 공포와 탐욕지수로 투자하시는 건 무의미하다고 보여집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0
0
0
매년 미증권가의 크리스마스랠리가 실종됐는데 경제위기가 그만큼 심각한거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연준에서는 경기는 포기하고 최대한 빠른 시일 내 물가안정을 목표로 하고 빠른 속도와 폭으로 금리인상 중입니다.한국도 미국금리인상에 쫓아 가는 입장이기에 0.25% 금리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서 이번년도 산타랠리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이구요.아무래도 내년에는 경기침체가 피부로 확 와닿는 시기가 올 것입니다.힘들더라도 버텨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0
0
0
물가가 오르기만 하고 내려가지는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한번 오른 물가가 낮아진다기 보다 이제 화폐가치를 올려서 상대적으로 물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갑니다.그래서 최대한 빠르게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경기가 안좋아지더라도 빅스텝, 자이언트스텝인 매파적 금리인상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2023년은 굉장히 힘든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2024년 정도에 물가 2~3%로 와줘야 괜찮아질 듯 싶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0
0
0
흔히 말하는 '산타랠리',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구체적인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이유는 산타의 선물이라는 의미로 작용합니다.연말,연초에 기업들의 실적개선과 더불어 연말보너스와 크리스마스, 송년회 등으로 시장이 활성화되어 증시에 강세가 보이는 현상입니다.꼭 그런 것은 아니며 지금 같은 시기에는 산타랠리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0
0
0
경기침체시에 어떤 현상이 가장 먼저 나타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가장 먼저는 피부로 와닿는 것은 기업의 구조조정, 파산 등으로 인한 실업자가 증가한다는 뉴스들이 떠돌아 다닐 겁니다. 그로 인해 기업은 소극적으로 변하고 생산량 저하와 높은 물가로 인하여 그 피해는 고스란히 일반 소비자, 국민들에게 오게 될 거고 고통의 시간을 보내야할 것 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20
0
0
주주총회에서 하는 일이 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특별히 하는 건 없습니다. 정말 이 회사가 궁금하다 앞으로 투자를 확대할 것이다가 아니시라면 굳이 가실 필요 없습니다.그 회사의 비래 비전에 대해 설명하는 거 듣고 주주들의 의견 듣고 간혹 이사회 의결권이라고 있지만 대주주가 아닌 이상 크게 의미 없는 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20
0
0
회생이 끝나고 이제 여유가 좀 생겨서 돈을 모아보고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내년에도 경기가 많이 안 좋을 것으로 전망되어서 지금은 어느 투자보단 은행에 넣어두시는 걸 추천드립니다.플러스 요즘 투잡으로 돈 버시는 분들 많으신데 힘드시겠지만 주말에 급구 알바 어플을 이용하여 추가 수익도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마지막으로 요즘 앱테크가 잘 되어있어서 리서치나 재능기부 등을 통해 수익을 올리는 방법도 있습니다.저도 본업 외에 위 두가지 추가적으로 하면서 수익을 올리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대출
22.12.20
0
0
경제가 회복되기 위해 가장 급한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지금 현재는 경제가 힘들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경기와 물가는 반비례하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순 없습니다. 그렇기에 고물가인 인플레이션을 먼저 잡고나서 경기를 잡아야하는게 우선입니다.어영부영하다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게되면 더욱더 힘들어지게될 것 입니다.파월의 생각도 이러한 경우의 수 떄문에 매파적으로 경기침체는 각오하고 금리인상에 나서는 것으로 보여집니다.하지만 그래야만 침제국면에서 최대한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도움이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9
0
0
주택청약은 무엇인가요?꼭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주택청약은 내집에 분양권을 당첨되기 위한 수단입니다. 분양권을 당첨되려는 이유는 집 시세보다 분양가가 훨씬 저렴하여 내 집 마련에 도움이 되는 것과 그것으로 인해 미래에 시세차익을 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덕분에 엄청 당첨되기가 힘들죠.집이 잘사시고 나중에 집을 구하는데 어려움이 없으시다 하면 굳이 안하셔도 됩니다. 그게 아니라면 꼭 하시길 추천드립니다.아직은 잘 모르실 수도 있는데 30대 접어들면 내 집마련이라는게 하늘의 별따기라는 걸 알게 되실 겁니다.주택청약은 꼭 넣으시고 지금은 모르시더라도 꼭 10만원씩 넣으세요. 10만원 이상 이여도 그 이상은 인정안되기 때문에 10만원씩만 넣으시길 바랍니다.저도 23살부터 넣으래서 넣었고 당시는 이해를 못 했지만 십여년이 흐른 뒤 그것으로 집 마련에 성공했습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좋아요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경제 /
대출
22.12.19
0
0
'테이퍼링', 정확히 어떤 경제정책인가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테이퍼링은 끝이 뾰족한, 점점 가늘어지다 라는 뜻으로 반대인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풀었던 돈을 점차 줄이겠다는 뜻입니다.통화 유통량을 줄이고 금리 인상 정책을 통해 화폐가치를 상승시켜 고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정책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19
0
0
415
416
417
418
419
420
421
422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