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자격증
무역관련 용어가 참 어렵네요. C/I에 대해 몇가지 궁금해서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밀레스님께서 문의주신 내용은 Commercial Invoice에 대한 내용으로 사료됩니다.1. C/I에 기재되는 Bill to, Ship to의 의미는 뭔가요?-> Bill to의 경우 쉽게 Invoice상에 기재된 물품의 대금을 청구할 자로 쉽게 '대금 지급인'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Ship to의 경우는 Invoice상에 기재된 물품이 송부될 곳으로 쉽게 '물품을 받을 자'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Bill to의 당사자와 Ship to의 당사자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습니다. 2. 유상과 무상이 함께 존재하는 C/I작성과 세관신고는 어떻게 하는건지요?-> 첫째로, 유상과 무상이 함께 존재하는 C/I 작성은 실무적으로 무상인 물품의 Description상에 "F.O.C(Free Of Charge)" 또는 "N.C.V(No Commercial Value)"를 기재하여 구분하여 작성합니다.-> 둘째로, 세관신고의 경우 수입신고나 수출신고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해당 수출입 신고를 진행하는 경우 Invoice를 기초로 수출입신고서를 작성하지만, 세관에 반드시 제출하여야할 서류는 아니며, 세관이 요구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출하게 됩니다. 또한 수출입신고의 경우는 법적으로 정하고 있는 (예 : 관세법인/관세사무소 등)를 통하여 진행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당~감사합니다. :)
경제 /
무역
23.06.12
0
0
무역 관련 진로를 위해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남형우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전공이신 '국제통상학'을 '무역'의 일종으로 보아 조심스럽게 답변을 드리자면, 무역에도 진로가 다양하게 많습니다. 무역 관련 공기업, 무역 상사, 일반 기업 구매팀 혹은 해외영업팀, 자격 관련하여 관세사, 원산지관리사, 보세사 등을 볼 수 있으며, 뿐만아니라 무역이라는 집합안에 물류를 포함시킨다면 포워딩, 포장 관련하여까지 광범위하게 진로를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지금 말씀드린 외에도 누락된 진로가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것이 첫 단추가 될 것 같습니다. 그 후 관심가는 카테고리에서 더 흥미가 가는 진로에 관하여 책을 통한 간접체험을 하시거나 현직자 분을 만나시면서 이야기를 나눠보시는 것을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무역자격증의 경우는 대부분의 무역 관련 종사하시려는 분들이 취득 하는 국제무역사나 무역영어를 들 수 있을 것 같으며, 공부외 활동의 경우는 관심가는 직업군의 현직자와 인터뷰를 하며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상기 말씀드린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이오며, 중요한 시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라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1.05.06
0
0
한-미 FTA 원산지증명서는 수출자가 발행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남형우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FTA에 따른 원산지증명서(C/O)는 기관발급(상공회의소 및 세관) 및 자율발급으로 구분됩니다. 그 중 질문하신 한-미 FTA의 경우는 '자율발급'으로 원산지증명서가 발급됩니다.발급주체는 '수출자', '수입자', '생산자'이므로 수출자(본인 회사)를 기준으로 발급(작성)하시고 서류를 미국 측에 송부하시면 됩니다. 다만, 해당 물품(HS CODE)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 충족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원산지증명서 형식의 경우 '협정문 제6.15조 2항'에 따라 정하여진 형식은 없으나, 권고서식이 있으므로, 해당 권고서식을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원산지증명서 내용에 필요한 항목은 '협정문 제6.15조 2항'에 따라 다음과 같습니다. ① 증명인의 성명(필요한 경우 연락처 또는 그 밖의 신원확인 정보 포함) ② 상품의 수입자(아는 경우에 한한다) ③ 상품의 수출자(생산자와 다른 경우에 한한다) ④ 상품의 생산자(아는 경우에 한한다) ⑤ 물품의 HS 품목번호 및 품명 ⑥ 상품이 원산지 상품임을 증명하는 정보 ⑦ 증명일자 ⑧ 증명서 유효기간(포괄증명의 경우)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1.05.06
0
0
국제무역사 공부 기간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분야 지식답변자 남형우 관세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비전공자의 국제무역사 취득과 관련하여 준비기간은 '한 달' 정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개인의 능력치에 따라 덜 걸릴수도 또는 더 걸릴수도 있겠지만, 일반적인 수험생이 국제무역사만 준비하였을 때의 시간이라고 대략적으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비전공자라 할 지라도 참고서만 구입하여 합격은 가능합니다. 다만, 인강의 경우 비전공자이시기 때문에 내용의 경중을 가리는데 좀 더 수월하여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강의를 수강할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무역
21.05.06
0
0
721
722
723
724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