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는 어떤고속도로 인가요?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는 경인고속도로입니다. 경인고속도로는 1968년에 개통되었으며,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고속도로입니다. 좋은 답변 되었으면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10
0
0
나이 먹어서도 할 수 있는 일을 알려주세요!
건설업 노가다를 한다고 해서 평생 일을 못하는건 아닙니다. 그러나 글쓴이님께서 다른 일을 하고 싶다고 하시면 기술 전문학교에서 미장, 도배 등 건설현장에서 배운거랑 비슷한 기술직을 찾아서 배워보시면 좀더 수월하게 일을 찾을수 있을거 같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10
0
0
집근처 하천이 범람하고있는데 괜찮나요?
주택말고 더 높은 고산지대로 올라가시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1층을 비우실때도 챙길수 있는 물건만 챙겨서 이동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무리하게 너무 많은 짐을 옮기시다가 큰일이 일어날수 있으니 재난문자가 오시면 고산지대로 이동을 하시는것이 좋을꺼 같습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09
0
0
인천대교를 지을 때 다리를 어떻게 바다속에 설치한 거죠?
서해에 다리를 설치할 때, 기둥은 바닷속 바닥까지 들어갑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됩니다파일 공법: 강철이나 콘크리트 파일을 해저에 박아 기둥을 지지합니다.케이슨 공법: 대형 콘크리트 박스를 해저에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세웁니다.보강토 공법: 해저 바닥을 보강한 후 기둥을 설치합니다.이러한 기법들을 통해 해저까지 기둥을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다리를 지탱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09
0
0
싱크홀은 무슨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땅속에 빈공간이 생기면서 그 곳으로 땅이 꺼지는 현상입니다. 원인은 지하수일 경우가 대부부입니다. 현재 도로나 도심지역에 싱크홀은 예전에 지하수가 있던곳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인해 수분이 충족 하지못하여서 지하수가 말라서 그공간이 생겨서 땅거짐이 발생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09
0
0
도로의 땅꺼짐현상의 가장 큰원인은 무엇인가요?
예전에는 도로에 아스팔트가 없고 흙들이 물을 많이 머금고 있엇는데 현재는 땅위에 시멘트등 도로를 포장 합니다. 그 결과 시멘트 밑에있는 땅에 수분기가 많이 없어져서 땅이 군데 군데 구멍이 많이 생기고 그 이후 갑자기 많은양의 물이 지하수로 유입되면서 흙을 가지고 가게 되어서 큰공간이 생깁니다. 그 공간은 따로 포장 도로가 힘을 다 지탱할수 없어서 땅이 꺼지게 되는것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09
0
0
수심 깊은 물 속에서는 어떻게 교량을 짓나요?
다리를 올릴수 있게 튼튼한 기둥을 시공하는게 제일 우선입니다. 기둥을 시공할때는 일단 물의 흐름을 차단하는 물막이 벽을 박아 넣고 그 이후 조금씩 물을 빼고 바닥이 나올때까지 중간 중간 물막이벽에 힘을 지탱할수 잇는 철근을 시공 해서 조금씩 내려가서 바닥이 보일때까지 작업후 기둥을 시공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09
0
0
모듈러식 주택 단열은 괜찮은지 궁금하네요
전통적인 건축물보다 내진 성능이 낮을 수 있습니다. 단열 성능이 떨어질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맞춤형 디자인이 어려워, 디자인 선택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특정 제조사의 부품과 모듈만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주택보다 재판매 가치가 낮을 수 있습니다.유일한 장점은 빠르게 지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09
0
0
오래된 아파트는 어떻게 치우나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주변 상가에 피해를 주지 않게 철거 하는 방법으로 위에서부터 조금씩 포크레인이 철거 하는 방식으로 철거 하게 됩니다. 가림막을 친 후에 물을 뿌리면서 먼저도 최대한 적게 나도록 철거 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09
0
0
거제대교에는 화재시 피할곳이 있나요?
거제대교는 해양 교량으로, 화재 시 피난을 위한 설비가 육상 터널과 같은 형태로 갖추어져 있지는 않습니다. 보통의 육상 터널에는 비상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거제대교와 같은 해상 교량에는 주로 교량 양 끝으로 대피하거나 구조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다리의 구조적 특성상 수중에 비상 설비를 갖추는 것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량을 이용할 때는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 적절한 대처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문 /
토목공학
24.07.08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