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장면을 먹다보면 그릇에 물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자장면을 만들때 전분(녹말)을 쓰게 되는 이 전분이 침속에 효소인 아밀라아제가 닿으면 물이 발생하게 됩니다.그래서 속설로 자장면 먹을때 나오는 물은 침이다 라고 하는 말이 생겨 난거에요물이 안생기게 드시고 싶으시면 소분해서 드시거나, 면을 끊지 않고 한번에 후루룩 드시면 덜 생겨요~ㅎ간짜장은 전분을 쓰지않아 물이 생기지 않는다고 하네요~
학문 /
물리
23.04.07
0
0
블랙홀에서 사건의 지평선은 어디를 뜻하는 것이며 왜 그렇게 부르나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사건의 지평선은 일반상대성 이론에서 사건의 지평선 넘어서 상호작용 할 수 없는 경계면입니다.일반적으로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면 못나온다라는 상식이 있는데 이처럼 블랙홀의 경계선으로 이해하시면 될 것같아요 그경계선 넘으면 다시 이쪽과 소통을 할수 없어서요사건의 지평선은 EVENT HORIZON 을 한국말로 번역한건데, 앞에서 말한 그 경계선을 넘는 것이 사건이고 이 경계선의 면을 지평선으로 이해하시면 편하실것같아요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4.07
0
0
원통형/원기둥 밀도랑 부피 계산하는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외경 19의 면적에서 내경 13의 면적을 빼고 길이 50을 곱하면 부피가 계산됩니다.19/2^2*3.14=14.915 , 13/2*3.14=10.205(14.915-10.205)*50=235.5부피X밀도=중량 이므로 밀도=중량/부피 입니다.그러므로 밀됴=9.34(g)/235.5(?) = 0.0396 (g)/(??) 로 계산하시면됩니다.길이의 단위가 없어서 숫자로 표현드립니다.길이단위넣으시고 단위환산하시면 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4.07
0
0
왜 방구는 소리가 날때도, 나지 않을때도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방구 소리는 음식을 삼킬때 공기가 함께 삼켜져 발생한 공기가 항문을 통해 나올 때 피부나 근육이 공기에 의해 떨리며 발생합니다.방귀소리는 항문에 가스의 양이 많고 압력이 높으면 소리가 크게 나게 됩니다. 방귀소리가 적게나거나 나지않는 것은 가스의 양이 적거나 압력이 낮아서 그런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6
0
0
오래 방치된 볼링공이 갈라진 원인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모든 물질은 노화라는 과정을 겪게 됩니다. 노화되어 썩는다는 것이죠, 볼링공도 오래방치됨에 따라 주변환경요소에 따라 노화가 빨리 진행되거나 느리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관리를 해주게되면 노화가 더뎌지겠죠.
학문 /
물리
23.04.06
0
0
전자레인지와 오븐의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가 물체의 분자를 흔들어 열을 발생시킵니다.오븐은 오븐내의 공기온도를 높혀 음식을 조리하는 것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6
0
0
안경을 물로 씻어도 깨끗해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안경에 유분기가 있어서 그런것 같습니다.기름은 물과 상극으로 안경에 기름이 코팅막처럼 형성되어 물로 씻어도 기름코팅 위를 흐르는 것 입니다.안경을 물로 씻을때 비누같은 기름기를 분해할 수 있는 물질로 닦아내면 깨끗해질겁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4.06
0
0
자연발화의 조건은 어떻게 되는지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자연발화는 말그대로 자연적으로 상온의 공기에서 스스로 산화반응을 일으켜 발화하는 현상입니다.자연발화 조건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물질이 분해하면서 발생한 열이 축적되서 발화할 수도 있고,퇴비같은것들이 효소작용에 의해 화합물 변화를 하며 내어놓는 에너지의 축적열로 인해 발화할 수도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6
0
0
무당벌레는 어떻게 겨울을 지낼까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무당벌레는 10월~11월에 군집하여 볕이 잘 들지 않는 돌밑이나, 구석진 곳에 모여서 월동을 합니다.3~4월이면 잠에서 깨어 활동을 하죠.무당벌레는 짓딧물과 같은 해충을 잡아 먹어 익충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6
0
0
매년 이맘때 꽃샘추위가 오는데요. 꽃샘추위는 왜3월달시기에 오나요?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꽃샘추위는 꽃을 시샘하여 추위가 온다 하여 꽃샘추위라 명명되었습니다.이는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입니다. 봄(3월)이 되면 시베리아 기단이 갑자기 강해지면서 시베리아지역(북쪽대륙)의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동아시아 지역이 모두 영향을 받지만 한반도가 가장 뚜렷한 현상을 보입니다.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기단은 북태평양기단(7~8월), 시베리아 기단(9월~3월), 오호츠크해기단, 양쯔강기단으로 기단으로 인해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4.05
0
0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