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전기 충전기도 종류가 있는건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사실 '충전기'라고 하면 다 비슷비슷해 보여도, 알고 보면 그 안에 꽤 다양한 방식이 숨어 있어요. 핸드폰이랑 건전지 둘 다 전기를 채워 넣는 건 같지만, 핸드폰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꽤 정교한 제어를 해요. 충전 속도를 조절하고, 발열도 관리 하죠.반면에 건전지 충전기는 조금 더 단순한 편인데, 건전지 특성에 맞춰 일정한 전류로 천천히 충전하면서 온도나 전압 변화를 감지해 멈추는 식이에요. 결국은 충전 대상에 따라 충전기의 방식도 달라지고, 그래서 ‘종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거예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4
0
0
전자파를 최소화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일상 속에서 우리 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자파를 완전히 피하는 것은 어렵지만, 일정한 원칙을 실천하면 노출을 현저히 줄일 수 있습니다. 전기전문가의 시각에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법들을 아래와 같이 설명드리겠습니다.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는 대부분 전자기장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거리와 시간, 차폐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가장 먼저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은 전자기기와의 거리 유지입니다. 전자파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특히 스마트폰, 와이파이 공유기, 전자레인지 같은 고주파 장비는 사용할 때 되도록 몸에서 멀리 두는 것이 좋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3.24
5.0
2명 평가
0
0
악성코드를 트로이목마라고 이름지은 건 어디서 유래했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컴퓨터 악성코드를 '트로이목마'라고 부르게 된 건,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됐어요. 트로이 전쟁 당시 그리스군이 만든 거대한 목마 안에 병사들이 숨어 있었는데요, 트로이 사람들이 그걸 전리품인 줄 알고 성 안에 들여놓은 뒤에야 병사들이 몰래 나와 성을 점령했죠. 이 이야기처럼, 트로이목마 악성코드도 겉보기엔 멀쩡한 프로그램처럼 보이지만 안에 해로운 기능이 숨겨져 있어서 사용자 몰래 침투하는 방식이라 그런 이름이 붙은 거예요.가장 처음 등장한 트로이목마는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쯤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특히 19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애즈(AIDS Information Trojan)"이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예요. 이건 사용자가 받아서 실행하면 컴퓨터를 잠그고 돈을 요구하는 방식이었어요. 요즘으로 치면 랜섬웨어와 비슷한 개념이죠.
학문 /
전기·전자
25.03.24
5.0
1명 평가
0
0
좀비 PC란 무엇을 말하고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좀비 PC라는 건 겉으론 멀쩡하게 보이지만, 사실상 누군가의 조종을 받으며 움직이는 컴퓨터를 말해요. 우리가 직접 쓰고 있는 컴퓨터인데도, 나도 모르게 누군가가 원격으로 이걸 조종해서 공격 도구처럼 쓰는 거죠. 이름 그대로 '좀비'처럼 자신이 왜 움직이는지도 모른 채 움직이니까 이런 이름이 붙었어요.이렇게 좀비 PC가 되는 경우는 대부분 우리가 평소에 무심코 클릭한 이메일 속 링크나 광고, 혹은 무료 프로그램 같은 걸 설치하면서 시작돼요. 그 안에 숨어 있는 악성코드가 몰래 깔리고, 이 컴퓨터는 해커가 보내는 지시를 받아 움직이게 되는 거예요.대처법으로는 백신 프로그램을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고, 정체 모를 파일은 클릭하지 않는 습관이 중요해요. 그리고 운영체제와 보안 패치를 제때 설치하는 것도 아주 중요해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4
5.0
1명 평가
0
0
현미경 사용 시 굴절과 반사의 원리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현미경을 쓸 때는 마치 빛을 다루는 섬세한 손길이 필요한데, 그 손길이 바로 굴절과 반사예요. 렌즈가 빛을 부드럽게 휘게 해서 작은 것들을 크게 보이게 만들고, 거울이 빛의 방향을 바꿔서 우리가 보기 쉽게 도와주는 거죠. 이 두 가지가 어우러지면 우리가 맨눈으로는 절대 볼 수 없는 세계가 눈앞에 또렷하게 펼쳐지는 거예요. 그래서 빛을 잘 다루는 사람은 남들이 못 보는 걸 볼 수 있는 거랍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3.24
0
0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두 장비 모두 전자를 이용해 아주 미세한 세계를 들여다보는 전자현미경이지만, 전자가 시료를 ‘어떻게 만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시료 표면 위로 스캔하면서 튕겨 나오는 정보를 수집해 표면의 생김새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장비예요. 그래서 표면의 굴곡이나 질감 같은 걸 볼 때 유용하죠.반면, 투과전자현미경은 아주 얇게 자른 시료 속을 전자가 뚫고 지나가면서 생기는 변화를 통해 내부 구조를 관찰하는 장비예요. 원자 배열이나 결정 구조처럼 속을 들여다봐야 하는 분석에 강하죠. 다만 시료를 엄청 얇게 만들어야 해서 준비 과정이 까다롭고 정교함이 필요해요.결국 겉을 보느냐, 속을 보느냐의 차이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 거예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4
0
0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이 현미경은 말 그대로 ‘공초점’이라는 이름답게, 빛이 한 지점에 정확히 맞춰지는 원리를 활용합니다. 시료 전체를 밝히는 게 아니라, 아주 좁은 한 점만 레이저로 비추고, 그곳에서 돌아오는 빛 중에서도 오직 초점이 맞는 깊이에서 나온 빛만 받아들이게 설계되어 있어요.이걸 가능하게 하는 게 핀홀이라는 작은 구멍입니다. 이걸 통해 초점 밖에서 오는 흐릿한 빛은 걸러지고, 원하는 깊이에서 나오는 선명한 빛만 받아들이는 거죠. 그런 다음 이 점을 하나하나 스캔해가면서 전체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그래서 이 현미경은 마치 시료를 얇게 ‘슬라이스’하듯 한 층씩 촬영할 수 있고, 나중에 그걸 쌓아 올리면 입체적인 3차원 이미지도 만들 수 있어요.레이저의 색도 조절할 수 있어서, 특정 형광물질을 단단히 잡아내는 데도 아주 좋고요. 생물학이나 재료공학 등에서 아주 미세한 구조까지도 선명하게 보고 싶을 때 딱 좋은 장비입니다.
학문 /
전기·전자
25.03.24
0
0
위상차 현미경은 어떤 경우에 사용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위상차 현미경은 평범한 광학현미경으로는 잘 안 보이는, 아주 얇고 투명한 시료를 관찰할 때 많이 쓰여요. 예를 들어 염색하지 않은 살아 있는 세포나 조직 같은 걸 들 수 있죠. 원래는 그런 투명한 구조는 눈에 잘 안 띄는데, 이 현미경은 빛의 굴절 차이를 명암으로 바꿔 보여주기 때문에 염색 없이도 세포 안 구조나 움직임 같은 걸 꽤 또렷하게 볼 수 있어요.그래서 보통 생물학 실험실에서 많이 쓰이긴 하지만, 반도체 같은 정밀 재료를 다루는 전기전자 분야에서도 아주 얇은 필름이나 특수 재료를 검사할 때 응용되기도 해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4
0
0
암시야 현미경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암시야 현미경은 빛을 다루는 방식이 일반적인 현미경과 조금 달라요. 보통의 광학 현미경은 빛이 시료를 지나가거나 반사된 걸 그대로 보는 방식인데, 암시야 현미경은 그런 빛은 일부러 안 보이게 하고, 시료에 부딪혀서 튕겨 나온 산란된 빛만 보게 합니다. 그래서 배경은 어둡고, 물체만 밝게 떠오르는 모습으로 보여요.이 원리를 이용하면 특히 작고 투명해서 잘 안 보이는 것들을 더 또렷하게 볼 수 있어요. 예를 들면, 박테리아처럼 아주 작은 생물이나, 살아 있는 세포, 또는 물 속에 떠 있는 작은 입자들 같은 걸 관찰할 때 많이 쓰이죠. 말하자면 어두운 배경에 반짝이는 것처럼 보이게 해서, 눈에 잘 안 띄던 것도 더 잘 보이게 해주는 거예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4
0
0
과일을 통해서 전기를 만드는 방법이 있다는데, 과일을 가지고 어떻게 전기를 만들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과일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건, 과일 속에 있는 산성을 활용하는 간단한 원리에 기반하고 있어요. 특히 레몬이나 오렌지처럼 신맛이 강한 과일은 속에 전해질 역할을 할 수 있는 산이 들어 있어서, 금속을 꽂아 놓으면 마치 작은 전지처럼 작동하죠.예를 들어, 구리와 아연처럼 서로 다른 금속 조각을 과일에 꽂아두면, 그 둘 사이에 미세하게 전류가 흐르기 시작해요. 과일 속 산이 두 금속 사이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그 결과로 아주 약한 전기가 생겨나는 거예요. 물론 휴대폰을 충전할 만큼의 전력은 아니지만, 작은 전구 하나쯤은 밝힐 수 있을 정도는 되죠. 전기 시설이 없는 곳이라도 자연 속에서 잠시 불빛을 얻고 싶을 때, 이런 원리를 활용해볼 수 있어요.
학문 /
전기·전자
25.03.23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