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전자 현미경중에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이 있습니다.
둘다 똑같은 전자현미경인데 두 전자현미경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성호 전문가입니다.
두 장비 모두 전자를 이용해 아주 미세한 세계를 들여다보는 전자현미경이지만, 전자가 시료를 ‘어떻게 만나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역할을 하게 됩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시료 표면 위로 스캔하면서 튕겨 나오는 정보를 수집해 표면의 생김새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장비예요. 그래서 표면의 굴곡이나 질감 같은 걸 볼 때 유용하죠.
반면, 투과전자현미경은 아주 얇게 자른 시료 속을 전자가 뚫고 지나가면서 생기는 변화를 통해 내부 구조를 관찰하는 장비예요. 원자 배열이나 결정 구조처럼 속을 들여다봐야 하는 분석에 강하죠. 다만 시료를 엄청 얇게 만들어야 해서 준비 과정이 까다롭고 정교함이 필요해요.
결국 겉을 보느냐, 속을 보느냐의 차이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 거예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은 시료 표면에 전자빔을 쏘아 반사된 전자를 검출해 3D 형태의 표면 이미지를 얻는 데 반해 투과전자현미경(TEM)은 전자빔이 시료를 투과하면서 내부 구조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더 높은 해상도를 제공합니다. SEM은 주로 표면 형태 관찰에 적합하며 TEM은 원자 수준의 내부 구조 분석에 유리합니다. 따라서 SEM은 입체적인 형상 분석에 TEM은 초미세 구조 연구에 많이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주사하여 반사된 전자를 검출 하여 이미지화 합니다.
이는 시료의 표면 형상과 구조를 3차원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투과전자현미경은 마찬가지로 전자빔을 시료에 투과하여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이는 내부 구조를 2차원 적으로 관찰하게 하며 원자 수준의 해상도를 제공합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주로 표면형상, 조성 분석, 재료 과학, 생물학 등에 사용되며
투과전자현미경은 나노 구조 분석,결정학, 세포 내부 구조 연구 등에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은 전자현미경이지만 사용 목적과 원리가 다릅니다. SEM은 샘플 표면을 스캔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 경우 전자 빔이 시료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2차 전자를 방출시키며 이를 탐지해 이미지를 만듭니다. 반면 TEM은 샘플을 투과한 전자를 탐지하여 2차원 평면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TEM은 샘플의 내부 구조를 고해상도로 분석하는 데 유리합니다. SEM은 주로 표면 관찰에, TEM은 내부 구조 분석에 사용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