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반려동물
학문
삵과 살쾡이가 서로 같은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삵과 살쾡이는 용어의 사용으로 혼동될 수 있습니다.살쾡이는 특정 종을 지칭한다기 보다 야생 고양이류를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지만 우리 나라에서 살쾡이라고 부르는 동물은 주로 삵을 가르킵니다.따라서 우리 나라에서는 같은 종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국제적으로 보면 다른 종일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5
0
0
설탕이 당뇨에도 안 좋지만 피부에도 안좋은지요?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네. 설탕은 혈당을 급격히 올려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여드름 및 뾰루지를 유발할 수 있고 피부 노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5
0
0
가장 오래사는 식물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가장 오래 산다고 보는 식물 종은 소나무과, 측백나무과 계열의 나무들입니다. 그 중 브리슬콘 소나무는 5천년 이상 살 수도 있다고 합니다.그리고 현존 보고된 가장 오래 산 실물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Methuselah라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5
0
0
초기의 펭귄은 지금보다 훨씬 컸다는데 그 크기와 무게가 얼마나 됐나요?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네. 고대 펭귄 화석들을 보면, 지금 펭귄들보다 훨씬 거대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대표적으로 현대까지 발견 된 펭귄 중 가장 큰 펭귄인 쿠메카펭귄은 약 1.6m~1.7m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몸무게는 약 154kg정도에 육박했다고 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4
0
0
열대지역에도 사는 펭귄이 있다고 하는데 어디에 사나요?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네.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펭귄은 갈라파고스 펭귄입니다. 몸무게는 약 2.5kg 정도로 작은 편이며 적도부근의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에 서식하여 유일하게 적도 지역, 가장 저위도에 서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4
0
0
바다에 사는 물고기가 민물에 들어 가면 죽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물고기는 자신의 체내 염분 농도를 환경에 맞추어 삼투압을 조절하며 살아가고있습니다.바다에 사는 물고기는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 삼투압을 유지하기 위해 소변을 적게 보고, 아가미로 염분을 적극적으로 배출하며 살아갑니다. 반면에 민물에서 사는 물고기는 체내 염분이 민물의 염분보다 높기 때문에 물을 많이 마시며 살아갑니다.따라서 각자 환경이 달라지게 된다면 삼투압 조절 실패로 인해 탈수가 오거나, 또는 반대로 물이 몸에 너무 많이 불어나게 되어 사망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4
0
0
새들이 날아가면서 똥을 싸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새가 날아가면서 변을 보는 것은 생존에 최적화 된 행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새는 사람과 달리 배변을 위해 힘을 주거나 멈출 필요가 없습니다. 총배설강의 근육이 이완되면서 자동으로 변이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늘 비행을 위해 몸을 가볍게 유지해야하므로 음식물을 빠르게 소화하고 배출하는 것이 새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새들은 날아가면서 변을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4
0
0
사람의 몸은 왜 씻지 않으면 냄새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씻지 않으면 사람의 몸에서 냄새가 나게 되는 이유는 피지나 각질, 땀, 세균 등이 피부에서 분해되며 악취를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땀 자체는 원래 거의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피부에 있는 세균과 만나면 분해되며 악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4
0
0
덩치가 크게 되면 근육도 많게 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사람이 덩치가 크다고 해서 반드시 근육량이 많은 것은 아닙니다. 체지방과 근육의 비율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근육량도 많을 가능성이 있다고는 볼 수 있습니다. 큰 골격을 지탱하기 위해선 일정 수준 이상의 근육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24
0
0
고양이는 밤에 보면 눈에서 빛이나는데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고양이는 망막 뒤쪽에 Tapetum Lucidum 이라는 특수한 반사판을 가집니다. 이 구조는 망막으로 들어온 빛을 한번 더 반사시켜 망막이 빛을 두번 받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약한 빛에서도 시각을 증폭시켜 어두운 환경에서도 잘보일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해줍니다.이처럼 Tapetum Lucidum이 빛을 한번 더 반사시키기 때문에 눈이 반짝거리는거처럼 보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5.02.18
0
0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