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퇴직하기 전년도에 사용하지 못한 연차휴가에 대한 보상을 언제 받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박정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근로기준법 제36조(금품 청산)에 따르면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임금, 보상금, 그 밖에 일체의 금품을 지급하여야 한다. 다만, 특별한 사정이 있을 경우에는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의하여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 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따라서, 질문자의 지인분은 퇴직일로부터 14일이내에 지급받으셔야 하며, 미지급 하였을시 체불임금으로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실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답변내용이 다를수 있는 점 양해바랍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휴일·휴가
20.05.08
0
0
1.5배의 야간수당은 5인 이하의 작업장이나 아르바이트생에게도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박정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5인 이하의 작업장에서 야간근로 가산임금 규정 적용 여부먼저 근로기준법 제11조 제2항은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대하여는 대통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법의 일부 규정을 적용할수 있다고 하고 있습니다.그에 따라 근로기준법 시행령 제7조 별표1을 살펴보면 근로기준법 제56조가 제외되어 있는 바, 4명 이하의 사업장에서는 야간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지급 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2. 아르바이트 생에게 야간근로 가산임금 규정 적용 여부정규직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사업장 상시근로자수에 따라 파악하시면 되겠습니다.구체적인 사실관계에 따라 답변이 다를수 있는 점 양해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고용·노동 /
임금·급여
20.05.08
0
0
1396
1397
1398
1399
1400
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