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격증
브리니클 현상이 일어나는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빙하 한복판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빠진 소금은 퍼져 나갈 곳이 없기에 얼지 않은 빙붕의 아래쪽으로 점점 밀려 자연스럽게 빙붕 아래 해수의 농도는 진해지게 됩니다.농도가 오른 과포화 상태가 된 해수는 어는점 역시 낮아지므로 어지간한 영하 온도에서도 얼지 않고 액체상태로 유지되게 되지요.하지만 영하 45~60도 사이를 왔가갔다 하는 극저온 환경에서 과냉각 상태에 과포화된 해수는 일반 해수보다 밀도가 높아, 슬러시 형태로 다시 점점 아래로 내려가게 됩니다.아래로 내려오는 극저온 및 고농도의 해수는 접촉한, 어느 점이 낮지 않은 일반 해수를 급속도로 냉각시키며 안쪽은 슬러시 형태의 소금물, 겉은 얼어붙은 일반 해수의 파이프 형태 고드름으로 형성되게 됩니다.이렇게 생성된걸 브리니클이라고 하지요.아무리봐도 정말 신기한 자연 현상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3.04
0
0
인간을 대체 할 수 없는 직업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회계사나 항공기조종사 등 전문직은 업무수행능력 대체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인공지능이 대체하기 어려운 직업임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전문직은 종합적인 문제해결력과 상황에 따른 판단력이 요구됩니다. 법제도의 해석(회계사)이나 비상 시 승객의 생명과 안전과 관련된 중요한 의사결정(항공기조종사)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전에 정의된 규칙을 따르는 인공지능이나 로봇이 대체하기 어려운 것이죠.결론은 종합적 판단이 필요한 직종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03.04
0
0
여자의 수명이 남자보다 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평균적으로 여성의 수명이 긴 이유는남성의 흡연과 음주율이 높고, 사회생활의 남성 비율이 높은데 이로인한 스트레스 발생률이 높아 남성의 수명이 낮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3.04
0
0
낮에도 달이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이 낮에도 보이는 이유는 하늘의 광도보다 달의 광도가 크기때문입니다. 하지만 태양의 광도가 한 낮에는 높기에달중에 강한 빛만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여 흐릿하게 보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3.04
0
0
쿼크란 정확히 어떠한 물질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쿼크는 더 작은 입자로 쪼개지지 않고 그 자체로 가장 근본적인 입자이며 내부 구조가 없는 점 입자입니다.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와 중성자는 쿼크 세 개가 모여서 만들어진 합성 입자입니다.쿼크는 겔만이론을 만든 겔만이 1964년에 발견하였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3.03.04
0
0
거위털의 보온성이 뛰어난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거위털은 타 제품보다 복원력과 보온성이 뛰어납니다.깃털자체의 탄성이 좋아서 오랜기간 사용해도 털이 뭉치질 않아서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3.04
0
0
고압선이 지나가는 곳에서는 동물들이 암에 잘 걸린다는 것을 어디서 들은 적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송전탑과 송전선로는 일반 가전제품보다 훨씬 큰 전류가 흐릅니다 따라서 가전제품보다는 송전탑과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계가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전자계는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멀리 있는 송전탑과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계는 우리 주위의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것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과학적으로는 근거리 접근만 하지 않는다면 우려할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3.04
0
0
하늘의 구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은 공기가 차가워지거나 충분한 수증기가 공급될 때, 응결 또는 승화과정을 거쳐 생성됩니다.대부분의 구름은 공기가 상승하여 냉각되면서 응결되어 생성되는데요. 결국 공기의 상승이 구름 생성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3.03
0
0
사람과 가장 흡사한 dna를 지닌 동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영장류인 침팬지가 인간과 가장 유사한 DNA 서열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의 DNA와 약 98% 정도 유사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3.03
0
0
유한한 지구 자원을 대체할 소행성의 자원 탐사 활용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유한한 자원으로 우주에서의 자원탐사는 미래 후손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봅니다. 탐사 결과는 후에 알려지겠으나 안되더라도 다음에는 꼭 될껍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3.03
0
0
1126
1127
1128
1129
1130
1131
1132
1133
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