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자격증
탄산은 소화효과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중탄산염을 포함한 물은 산성화된 음식을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실제 직접적인 소화를 되는건 아닙니다. 실제는 기분탓 인거죠. 그리고 탄산성분이 치아에는 부정적요인이라 추천할만한 상황은 아닌듯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3.03.17
0
0
적외선온도계는 어떠한 원리로 온도 측정을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손이 닿지 않는 곳을 측정할 때 주로 쓰이는 온도계입니다. 물질이 방출하는 적외선 복사 에너지가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했습니다. 모든 물질은 가시광선의 붉은색보다 파장이 긴 영역의 적외선을 방출하는데 이 적외선 복사 에너지의 세기를 열로 변환 감지하여 온도를 측정합니다.유리 산업, 철강 산업, 플라스틱 제조 산업 분야에서 고온의 물질 온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며 건물에서 나오는 복사열을 측정할 수도 있다고 하네요.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3.17
0
0
빛을 활용한 광통신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광통신의 원리는 전기신호를 발광 소자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전광변환을 하여 광파를 만들게 됩니다. 광신호로 변환된 것을 광섬유 케이블에 의해 수신측에 전달시키면 수신측에서는 수광 소자인 포토다이오드와 APD에 의해 광전 변환을 한 다음 원래의 신호로 재생하여 통신하게 되지요.광통신 시스템은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화시키는 발광기, 전송매체인 광섬유 케이블 또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는 수광기와 광중계기와 광 연결기 등으로 구성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03.17
0
0
극성과 비극성의 차이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극성(polar)과 비극성(nonpolar)은 분자의 전자 밀도 분포의 불균형으로 양전하와 음전하가 분리되어 나타나는 분자의 고유한 성질입니다. 전하의 분리에 의한 쌍극자 모멘트(dipole moment)가 큰 분자를 극성 분자 그리고 쌍극자 모멘트가 없거나 작은 분자를 비극성 분자라고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3.03.17
0
0
밤하늘 오로라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에서는 빛이랑 열이랑 또 많은 입자들이 나오는데요.이 입자들이 지구의 자기장에 의해서 지구로 끌려옵니다.자기장은 북극이랑 남극에서 가장 강한데 그래서 입자들이 북극이랑 남극에 가장 많이 모입니다.이것들이 공기랑 충돌하면서 빛을 내는데 그것이 오로라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3.16
0
0
아이슬란드에 화산활동이 많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상부맨틀의 뜨거운 마그마는 끊임없이 외부로 빠져나가려고 하는데 주로 틈새를 통해 분출합니다. 분출된 마그마가 식으면서 냉각된 암석들이 해양지각을 만들고 판의 일부가 점점 멀어지는 ‘확장경계(Divergent boundary)’를 형성하는데요. 이 확장경계에는 열곡(rift valley)과 해저산맥인 해령(oceanic ridge)이 생성된다.대서양 중앙해령(Mid-Atlantic Ridge)이 아이슬란드 한 가운데를 지나는 아이슬란드는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해령이 수면 위로 드러난 지역입니다. 과학자들은 “대서양 해령의 연장선상에 놓여있는 아이슬란드의 신화산 대(Neovolcanic zone)에는 많은 열곡대(rift zones)가 발달해 있다”며, “이 곳에는 아직도 활화산들이 많아 화산폭발이 자주 일어난다고 합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3.16
0
0
화산재는 비옥하여 농작물이 잘 된다고 하는데 어떤물질이 많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화산재에는 칼륭 인 나트륨같은 성분이 풍부하여 천연비료 그 자체입니다. 이는 장기간에 걸쳐 약해진 지력을 강하게 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화학
23.03.16
0
0
하늘의 구름이 움직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대기권에는 지역에따라 북서풍 남동풍등 바람이 붑니다. 이런 바람의 방향에 따라 구름이 움직이는 겁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3.16
0
0
대변의 색은 왜 갈색을 띄나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대변의 색이 갈색인 이유는 바로 담즙 때문입니다.담즙은 지방을 소화시키는 효소로 간에서 만들어져 담낭(쓸개)에 저장되었다가 담도(쓸개관)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는데요.여기서 음식물과 만나 장으로 내려가는데 원래 초록색을 띠는 담즙이 장내 세군과 만나면 색이 변하는 것입니다.사람에 따라 장내 세균의 분포가 다르고 어떤 음식을 먹었는지에 따라 담즙이 변성되는 색이 조금씩은 다르고 하는데요.탄수화물을 많이 먹으면 황색에 가까운 색을 띠게 되고단백질인 육류를 많이 먹게 되면 갈색을 띠게 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3.16
0
0
올해 여름부터 우리나라는 적도 부근의 엘리뇨 현상에 영향을 많이 받을 거라는데 어떤 기후 변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엘니뇨는 라니냐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대기 순환을 방해해 세계 곳곳에 이상기후를 초래해 관련국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국제 원자재 수급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곡물 등 농산물시장 안정을 훼손할 수 있습니다.결국 더워지고 강수량은 많아지고 이상기후로 태풍도 빈번히 생기겠죠.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3.16
0
0
1234
1235
1236
1237
1238
1239
1240
1241
1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