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환율이 다시 치솟는데 11월 금리인하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과거 트럼프1기때도 트럼프 당선 전후로 환율이 급격히 올랐었는데요,이내 환율이 내려가는 추세에 있었습니다.그래서 제 의견으로는 이번 11월 말 금리인하를 하지 않더라도 다음 기준금리는 인하하여 미국 금리 인하 기조와 맞추지 않을까 싶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4.11.13
0
0
미국 부채가 엄청 많은데 왜 잘나가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이 경제 1위 대국이기 때문이고,기축통화인 달러를 발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빚이 많아도 또 돈을 찍어낼 수 있는 입지이기 때문에전세계의 돈이 몰립니다. 가장 신용이 높은거죠.
경제 /
대출
24.11.13
0
0
금리가 오르는게 좋은가요?아니면 금리가 하락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경기가 좋으면 금리가 올라도 됩니다. 금리 올리는 것 자체는 부담이지만 경기가 좋기 때문에 받쳐주는 건데요,경기가 좋지 않는데 금리를 올리면 경기가 박살이 납니다.그렇다고 금리를 계속 내린다면?그렇게 되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게 되는데요, 이러면 자산의 폭등이 일어납니다. 집값이 어마어마하게 오르는거죠.그래서 서민이 살기 좋으려면경기도 꾸준히 성장하면서 그에 맞게 금리도 적당히 안정적이면 좋습니다.그 적당히를 하는게 어렵기 때문에 항상 경제는 불황과 호황이라는 사이클이 생기게 된답니다.
경제 /
대출
24.11.13
0
0
주식은 버티면 돌아 오는 경우도 많은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종목마다 다른데요,주식 과거부터 그래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일정 시간이 지나서 오른 경우는 거의 삼성전자 밖에 없을 정도로 손에 꼽히긴 합니다.그래서 어느정도 본인의 기준이 필요한데요,하락할때 몇 프로 이상 하락을 시작하면 손절하겠다몇 프로 이상 먹으면 익절하겠다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11.13
0
0
트럼프 정부는 금리인하에 대해 어떤 스탠스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트럼프는 저금리 약달러 기조를 원합니다.그러나 트럼프가 하고자하는 정책들(관세 부과)등으로 상충되는 소지가 있는데요,어쨌든 무역적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했었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해금리를 인하를 위해 연준을 압박하고, 외환시장에 개입할 확률이 높습니다.
경제 /
경제정책
24.11.13
0
0
재산 증식할려고 하면 집을 사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차는 사는 즉시 감가되기 때문에, 자산을 불리려면 차를 먼저 사면 안됩니다.저도 40대가 되는데요, 아직 차가 없습니다.KB금융에서 나온 2023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부자들이 종잣돈으로 현재 자산을 불린 투자처는주식과 주택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산을 불릴 수 있었던 종잣돈을 마련한 나이대가 30~40대임을 보여줍니다.저도 32~33살부터 7년간 해서천만원에서 강남에 내 집마련하고 또 투자하고 있습니다. 글쓴이분의 나이대가 가장 중요한 나이대이니차보다는 주식과 부동산을 공부해서 자산을 늘려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경제 /
자산관리
24.11.13
0
0
신분증 정보와 주민번호뒷자리만으로 대출을 받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글쎄요..초기단계에서 핸드폰 본인인증을 해야해서 그럴 일은 없을 것 같습니다.대출 받을 때도 개인 서류를 많이 제출해야 하는데, 신분증만으로는 심사가 어려우니까요.
경제 /
대출
24.11.13
0
0
대출로 인해, 주민등록초본 은행에 낼때 주소 다 나오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대출받을때 필요서류는초본 전체발급입니다.주소변동 전체와 주민등록번호 전체 다 나오게 발급한 것 제출하시면 됩니다.
경제 /
대출
24.11.12
5.0
1명 평가
0
0
보금자리론 대출 갈아타기 의논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담보가 바뀌는 것임으로 새로 심사를 받아야 하구요,신축아파트 잔금대출은 보통 잔금 치기 전에 집단대출 은행들이 몇 개가 정해지구요,그 은행들 중에서 골라서 집단대출 신청하셔야 합니다. 보통 청약 당첨자들 카페가 생겨나는데요거기서 정보얻기도 하시고 단톡방에서 정보 얻기도 합니다.
경제 /
대출
24.11.12
0
0
윤석열 정부 경제 성과, 실제 체감과 다른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실제로 물가상승률이 10월에 전년동월대비 1.3% 로 나오면서 물가 안정이 된 것이 맞습니다.고용률도 꾸준히 좋아졌구요.다만 실제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경기의 경우에는 대출금리급여주식시장/부동산시장의 영향이 큰데요,금리의 경우에도 기준금리 인하가 되었지만 대출금리의 압박이 계속되고 있구요,주식시장 부동산시장 모두 좋지 않습니다. (부동산의 경우 서울중심권만 최고가 형성하고 이외 전고점 회복 못하는중)급여의 경우에도 내 월급 전혀 오르지 않고 오히려 인센티브가 깎인 회사들이 많습니다.그렇다 보니 체감경기는 좋지 않은 것이죠.
경제 /
경제정책
24.11.12
0
0
28
29
30
31
32
33
34
35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