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차용증 양식을 다운받아서 작성중입니다. 차용증작성시 가장중요한 사항은 무엇이며 이자지급에 대한 부분은 반드시 적어야 하는부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혹시 주택 매매 때문에 작성하는 차용증인가요?주택 매매 시 작성하는 차용증의 경우에는 차용증 자체에 기재된 내용보다는실제로 매달 이자가 통장에 꼬박꼬박 찍혔느냐, 원금이 제때 상환되었느냐가 가장 주요한 포인트라서말씀하신 내용이 차용증에 있어도 상관없습니다.크몽에서 자금조달계획서와 차용증 상담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이용해주세요.
경제 /
대출
24.11.06
5.0
1명 평가
0
0
은행가서 거래내역뽑을때 하루것만 뽑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몇년치도 다 뽑을 수 있습니다.출금내역도 따로 뽑을 수 있습니다.은행마다 다르지만 보통 홈페이지에서 가능하고, 하나은행의 경우 1년이전 거래내역은 지점 방문해야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예금·적금
24.11.05
0
0
사업자로 대출 받으려면 어떤것을 준비하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사업자등록증, 소득금액증명원 필요합니다.보유 주택 있으시면 주택담보대출로 해서 담보를 더 쳐줘서 금리와 한도 측면에서 유리합니다.유의하실 점은 대출 받은 금액은 사업운영자금으로 사용되어야 하며 다른 용도(주택 구매 등)으로 사용 할 수 없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 /
대출
24.11.05
5.0
1명 평가
0
0
유튜브를 통해서 유명한분이 집을 사지말고 월세를 살아라 ~! 이렇게 말씀하시면서 집을 살돈으로 투자를해라 ~! 어떻게 생각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그 유튜브에선 명확히 어떤 자산에 투자하라고는 말해주지 않던가요?월세를 살면서 집을 전세끼고 사면 좋을 것 같습니다.실제로 저도 천만원 밖에 없었을때부터 그렇게 해서 자산을 불렸구요.지금은 강남에 내집마련할 수 있었어요.앞으로도 계속해서 부동산 투자는 할 생각입니다.만약에 전세를 끼고 살 수 있는 돈이 마련되지 않았다면조금씩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것도 추천드리구요.미국 주식은 시총 1등 기업이나 지수투자를 하는 것 추천드립니다.
경제 /
자산관리
24.11.05
0
0
긴축 재정이란 어떤 경제 정책을 의미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긴축재정은 경기가 과열되거나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때 시행하는 정책입니다.화폐 공급을 줄이고 이자를 올리는 것입니다.미국 연준의 테이퍼링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경기가 과열됐을때 현금 푸는 것을 조금씩 줄여나가는 것인데요, 이것도 긴축정책에 해당합니다.가계에서도 긴축이라는 단어를 많이 쓰죠.지출을 줄이려고 한다라는 뜻입니다. 도움이 되셨을지요?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4.11.05
0
0
올해 세수가 50조원 감소되어 빚으로 나라를 운영해야할 상황인데 , 금투세까지 폐지하면 세수가 더 부족 해지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네 하지만 주가가 많이 내린 상태로 실질적으로 금투세를 시행하며 얻는 세수 자체가 적을 것으로 판단합니다.실제 시행을 한다고 하더라도 유효하지 않은 정책이고국민들의 반발을 사기만 해시기를 늦추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4.11.05
4.0
1명 평가
0
0
디드로 효과라는 것이 어떤 것을 말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쉽게 '어떤 물건을 샀더니 그 물건과 어울리는 다른 물건도 사고싶다'라는 심리가 드는 현상입니다.예를 들어 아이폰을 사면 인터페이스가 편한 아이패드나 맥이 사고 싶어지는 거죠.감사합니다.
경제 /
경제용어
24.11.05
0
0
30대에 자산을 늘리기 위해서는 어떻게 노력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맞습니다. 저도 30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우선 정말 소비를 제어하고 무조건 저금해서 목돈을 만들어야 하고결혼을 하더라도 당분간은 오피스텔 월세로 거주해서 주거비를 줄여야 합니다.목돈 모아서 그래도 괜찮은 아파트를 갭투자라도 매수해서 자산을 늘려나가야 합니다.그리고 또 따로 모은 돈은 S&P나 나스닥 지수 투자 같은 것을 통해 안전히 불려나가구요.
경제 /
자산관리
24.11.05
0
0
새마을 금고와 하나은행 중에서 어떤 금융기관에서 빌려야 할지 고민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0.5프로 차이도 몇 년씩 내게되면 꽤 크거든요.새마을금고도 괜찮습니다. 새마을금고는 신용등급 낮아지는 것도 없구요.딱히 1금융권이라고 해서 혜택도 없습니다.
경제 /
대출
24.11.05
0
0
왜 사람들은 여론에 많이 휘둘리까요? 이러한 여론을 통해서 주식을 투자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많은 사람들이 정확한 내 투자 원칙 즉 가치관이 없다보니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는 것 같습니다.투자자라면 적어도 언제 사야하고 언제 팔아야 할지 원칙을 세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저는 여론에 따르기 보다는 본인만의 타이밍을 만들어나가심이 어떨지 추천드립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4.11.05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