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달걀이 상하면 물에 뜨는 이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달걀은 단단한 껍질로 둘러쌓여 있어 그냥 육안으로 보기에는 빈틈이 없어 보이죠. 하지만 달걀은 숨쉬는 생명체입니다. 외부의 공기가 드나드는 미세한 구멍을 갖고 있죠. 모두가 알다시피 달걀은 액체상태의 단백질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런 달걀이 공기 중에 오래 방치되면 달걀 속의 수분이 점차 증발하게 됩니다. 결국 달걀 속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생긴 빈 공간은 달걀 안팎의 압력 항상성 유지 과정에서 점차 공기로 채워지죠. 즉 달걀껍질이 단단하기 때문에 달걀의 외형은 쪼그라들지 않고 그 내부의 내용 물만 쪼그라들면서 달걀 밖의 공기가 빈자리를 채워 상한달걀 전체의 밀도는 작아지는 것이지요. 기체보다는 액체가 무겁겠죠. 따라서 기체(공기이든 상해서 생긴 가스이든)가 많이 든 달걀 쪽이 더 잘 뜨게 되어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08.14
0
0
우주를 발견한 과학자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코페르니쿠스는 이전의 천동설을 부정하고 지동설을 주장했다. 코페르니쿠스는 왜 행성이 천체상을 역행하는가 등의 의문에서 출발해 지구의 자전과 공전이라는 지동설에 도달했다. 지동설 주장은 발표되고 440년이 지난 뒤에야 로마 가톨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했다.이후 갈릴레이 갈릴레오가 주장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4
0
0
지구온난화로 인한 영향에 대해서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가 가속되면 우선 대륙의 대부분이 물에 잠기게 됩니다. 남아 있는 곳도 사막화의 영향으로 황무지가 돨 가능성이 많습니다. 계절의 변화도 열대성 기후가 우세해 집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4
0
0
태양의 수명은 몇년정도 남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의 수명은 약 100억년. 현재 46억살 정도인 태양은 50억년 후 수소와 헬륨 등을 핵융합에 모두 소진하고 부풀면서 금성을 집어삼킬 만큼 큰 적색 거성(red giant)이 된다.이후 외곽 가스층이 날아가면 지구 크기의 고밀도 백색 왜성(white dwarf)이 돼 식어간다.이게 끝일까? 태양 같은 별은 백색 왜성이 된 후 서서히 식어갈 뿐이라는 통념과 달리 백색 왜성 표면에서 수소 열핵융합 반응이 천천히 진행돼 별의 수명이 더 연장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4
0
0
고산지대 살면 적혈구에 수가 증가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정답은 세포대사에 있었다. 셰르파는 산을 오르는 과정에서 지방보다 포도당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얻었다. 일반적으로 같은 양이면 지방이 포도당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지방을 연소할 때보다 포도당을 태울 때 산소가 더 적게 필요하기 때문에 체내 산소 활용 면에서는 셰르파의 세포대사가 유리한 것이다.다른 연구에서는 셰르파의 세포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가 일반인보다 최대 30% 더 에너지를 낸다는 결과도 있다. 즉 셰르파의 몸은 연비가 좋은 자동차처럼 적은 산소로도 신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발전한 것이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08.13
0
0
적조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계의 부영양화가 주된 원인으로 여겨진다. 갯벌에 사는 조개 등의 생물은, 그곳에 사는 미생물이나 플랑크톤 등을 먹이로 삼아서, 수중에 유입되는 영양염이나 유기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일을 해왔다. 그러나 간척사업 등으로 인해 간석지가 대폭 감소해 만내의 부영양화가 진행되어 이것 때문에 플랑크톤이 대량 발생한다고 추측되고 있다.
학문 /
생물·생명
23.08.13
0
0
충전 배터리를 충전해 놓고 오래 방치하다가 사용하면 문제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특별한 기계적, 배터리 문제가 앖다면 자연 방전 되면서 배터리 양이 감소하게 됩니다. 큰 문제는 없습니다/
학문 /
화학
23.08.12
0
0
소는 다른 동물들에 비해 지능이 얼마나 높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소는 인지능력과 뛰어난 감정적인 민감한 능력을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소의 눈물이 슬픔으로 표현되는 이유가 위와 같은 소의 감정표현 능력 때문입니다. 그리고 소 아이큐 는 30정도 이며, 양은 20, 닭은 7 정도 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8.12
0
0
더우면 땀이 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체온 조절(thermoregulation)은 시상하부에 위치한 열감지장치에 의해 진행되며, 기준점(set point)에 입력된 기준 온도값에 따라 PID 제어를 통해 신체의 발열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한다. 다르게 말하자면, 뇌에 차가운 피가 들어가면 몸이 뜨거워도 발열량이 계속 증가한다. 또 다르게 말하면, 저 set point를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 신체온도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의식적으로 절대 조작되지 않는다. 다만,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 시 제거를 위해 set point가 변경된다. 체온 조절 시 온도가 높은 경우엔 땀이 나게 하거나 대사량을 낮추고, 낮은 경우엔 대사량을 올려서 발열을 극대화한다. 우리가 추울 때 몸을 무의식적으로 덜덜덜 떨게 되는 것도 몸이 대사량을 올려 열을 내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PID 제어답게 시간이 지날수록 더 춥게 느껴지고 대사량은 더 높아진다. 실제로 아프리카에선 말라리아에는 매운 신라면을 먹고 땀을 뻘뻘 흘리면 열이 내려가 도움이 된다는 속설 때문에 신라면이 인기라고 한다.
학문 /
화학
23.08.12
0
0
제주도의 논밭의 흙이 까만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한라산 화산폭발로 인해서 화산석이 많습니다. 풍화작용으로 화산석가루들이 흙에 섞여 있어서 까맣게 보입니다.
학문 /
토목공학
23.08.12
0
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